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제약·바이오
  • 국내사

ARB계열 고혈압치료제 CCB매출 넘어섰다

주경준
발행날짜: 2007-05-21 07:20:20

상반기중 역전 확실...이뇨제 포함 복합제 강세

ARB(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계열 고혈압치료제의 매출이 노바스크를 위시한 CCB(칼슘길항제)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ARB계열 약물과 이뇨제가 결합한 복합제의 약진이 주된 이유로 올해 상반기 매출역전에 성공했다. ARB복합제는 코자플러스, 코디오반 등 '코'나 '플러스' 등이 기존 제품명 앞뒤에 붙은 제품들이다.

메디칼타임즈가 IMS데이터를 기초로 ARB, CCB, 베타블로커 ACEi 계열의 최근 2년간의 분기별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ARB계열 약물들이 05년 1분기 10% 이상 CCB계열에 뒤쳐졌던 매출 점유율을 06년 4분기 1.22%까지 좁혔다.

지난해 말 CCB 매출규모를 턱밑까지 추격한 ARB계열이 상반기 매출 주도권을 확보한 것으로 확실시되고 있다.

고혈압치료제 시장이 지속 성장에 있어 다국적제약사 중심의 ARB계열 약물의 약진이 개량신약과 제네릭 출시로 시장을 공략중인 국내사의 도전에 비해 경쟁력에서 우위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ARB계열의 대표약물은 디오반, 아프로벨, 아타칸, 올메텍 등이며 이중 대웅제약의 올메텍과 한독의 테베텐을 제외하고 모두 다국적제약사 제품이다.

매출면에서 ARB계열이 새로운 강자로 부상했으나 CCB계열 약물의 상대적으로 약가가 저렴해 처방점유율은 여전히 CCB가 높다. 또한 개량신약과 제네릭 출시로 CCB계열 평균 약가가 낮아졌다는 점에서 점유율의 추이는 가늠하기 어렵다.

한편 고혈압치료제 시장의 매출규모는 9607억원(IMS 기준)으로 올해 1천억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