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반도체 PET' 시스템을 개발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반도체 PET는 기존 진공관 방식의 한계로 지적됐던 MRI와의 호환성 문제를 말끔히 해결할 수 있어 PET-MRI 개발에 가장 선진화된 기술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최 용 교수
삼성서울병원 핵의학과 최용 교수팀은 최근 정부지원 연구기술 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실리콘 광증배 센서를 이용한 반도체 PET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반도체 PET는 기존 PET에 사용되는 진공관을 반도체 센서로 대체한 기기.
기존 PET는 진공관 방식을 사용해 부피가 컸으며 진공관 자체가 수작업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당한 제작비와 시간이 필요했다.
또한 MRI를 가동할때 생기는 자기장이 진공관에 영향을 끼쳐 PET이 먹통이 되는 등의 호환문제가 발생해 일체형 PET-MRI를 개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최 교수팀이 진공관에서 반도체로 핵심부분을 교체하는데 성공하면서 대량 생산 체제가 가시화 됐다.
특히 반도체는 진공관과 달리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점에서 일체형 PET-MRI를 상용화 시킬 수 있는 기술적 토대가 마련됐다.
최 용 교수는 "반도체 PET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첨단기술인 반도체 기술이 접목돼 진공관 방식에 비해 제작비용이 크게 절감된다"며 "무엇보다 PET-MRI 개발에 가장 앞선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개발된 PET는 직경 330mm로 뇌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규모. 하지만 핵심기술이 완성됐다는 점에서 전신 촬영용으로 확대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또한 모의 뇌영상 실험 결과 기존 PET와 비슷한 수준의 영상을 획득했다는 점에서 영상품질 면에서도 상당한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최 교수팀은 이러한 기술을 발판으로 향후 2년 내에 반도체 기반 PET-MRI를 개발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세계 메이저 의료기기 회사들이 앞다퉈 PET-MRI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진공관과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던 것이 사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최 교수팀의 연구결과가 향후 PET-MRI개발에 큰 파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최 교수는 "반도체 PET를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한 것 자체로도 큰 의의가 있지만 세계 어느 나라보다 PET-MRI 개발을 위한 선진기술을 확보했다는 것이 더욱 큰 의미"라며 "수년 내에 국제경쟁력 있는 일체형 PET-MRI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학계에 따르면 만약 PET-MRI가 개발될 경우 세계적으로 약 20조원에 달하는 새로운 시장이 조성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