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학술
  • 학술대회

"병원장님, 흉부외과 살려 주세요"

안창욱
발행날짜: 2010-01-12 06:47:17

안혁 이사장 "수가인상분 지원 요청하는 건 절규"

대한흉부외과학회(이사장 서울의대 안혁)가 11일 수가 100% 인상에 따른 수입 증가분의 70%를 흉부외과를 위해 사용해 줄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전국 병원장들에게 발송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둘지 주목된다.

안혁 이사장
메디칼타임즈는 이날 대한흉부외과학회가 전국 병원장들에게 몇 가지 요청사항을 담은 협조공문을 발송한 직후 안혁 이사장을 만났다.

흉부외과학회가 병원장들에게 요청한 사항은 흉부외과 수가 100% 인상에 따른 수입증가분의 70%를 흉부외과를 위해 사용해 달라는 것이다.

학회는 흉부외과 사용 용도로 전공의뿐만 아니라 전문의(전임의, 촉탁의, 지도전문의 포함)의 처우 및 근무환경 개선, 복지향상, 인력보강, 교육연구예산 증강 등을 예시했다.

또 학회는 전공의 급여인상을 전국적으로 동일한 수준으로 해 병원간 전공의 지원 불균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요청하고 나섰다.

안 이사장은 “2010년도 전공의 전기모집 결과 흉부외과에 31명이 지원했는데 이는 전년도에 비해 9명이 증가한 수준”이라면서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일부 대형병원에만 몰렸고, 지방 병원은 전멸 상태”라고 환기시켰다.

이어 안 이사장은 “그렇지 않아도 대형병원에 환자가 몰리고 있는데 월급을 많이 인상해 이들 일부 병원에 전공의들이 몰리는 것은 곤란하다”면서 “그런 뜻에서 동일한 월급 인상을 강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대병원을 포함한 소위 빅4는 흉부외과 전공의 월급을 300만원 인상한 상태다.

따라서 학회가 동일한 수준으로 월급을 인상해 달라는 것은 다른 병원들도 전공의 월급을 300만원 인상해 달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안 이사장은 “대형병원들은 수가가 인상되면서 수입증가분이 상당하지만 지방병원들은 금액이 많지 않을 것”면서 “가능하면 전공의 월급을 같은 수준으로 인상해 달라는 것이고, 병원을 증축하는데 그 돈을 투입하면 곤란하지 않겠느냐”고 못 박았다.

특히 안 이사장은 전공의들이 흉부외과 지원을 기피하는 이유로 3가지를 꼽았다.

월급이 적어서 흉부외과를 기피하는 게 아니라 근무환경이 열악하고,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후 일자리가 없고, 봉직을 하더라도 월급이 적다보니 이런 문제가 발생한다는 게 안 이사장의 판단이다.

그는 “종합병원들이 흉부외과 전문의를 더 채용해 일자리를 창출해야 레지던트들이 24시간 근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흉부외과학회는 지방병원 원장들에게 전문의 최저 연봉제를 보장해 줄 것도 당부했다. 최저 연봉이 보장돼야 전공의들이 미래의 취업에 대한 걱정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안 이사장은 “지방병원들은 수술이 많지 않다보니 수입이 적고, 월급도 낮은 수준”이라면서 “수가 인상분을 활용해 적정 연봉을 보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대형병원은 수가인상분으로 전문의 처우를 개선하면 지방병원에 근무하는 의사들은 상대적으로 더 큰 박탈감을 느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학회에서 병원장들에게 절규에 가까운 이야기를 하는 것”이라고 호소했다.

그는 “학회가 병원장들에게 협조를 요청한 사항은 어디까지나 가이드라인일 뿐이지만 전국 흉부외과 의사들의 의견을 취합해 만든 절규”라며 협조를 당부했다.

그는 “병원장들이 요청사항을 수용하지 않더라도 학회에서 어떻게 할 수 있는 힘은 없다”면서 “다만 복지부에서도 수가인상분 사용처를 확인중이고, 국회에서도 관심을 갖고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