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 의료기기 기업들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을 둘러싼 의정 갈등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총선 이후 어떤 식으로든 정리가 될 것이라는 예상을 비웃듯 상황은 점점 더 악화되고 있고 전공의 부재를 참지 못한 교수들까지 연이어 사직서를 내면서 대재앙의 서곡이 울려퍼지는 상황이다.이제는 누구도 이 상황이 어느 방향으로 흘러갈지 예상조차 하지 못하는 지경에 왔다. 의료계와 정부 어느 누구도 단 한발짝도 물러서지 않는 치킨 게임으로 흘러가고 있기 때문이다.문제는 이러한 고래 싸움에 말 한마디 못하고 등이 터져나가는 새우들이 있다는 점이다. 바로 제약사와 의료기기 기업이다.그나마 제약사는 버틸 구석이 있기는 하다. 비단 상급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만 납품하는 것이 아닌 만큼 매출 타격은 불가피하다고 해도 일단은 1, 2차 병원과 약국 등의 매출은 유지되고 있다.그러나 치료재료나 수술기구를 납품하는 의료기기 기업들은 이미 등이 터지다 못해 도산 위기까지 몰려 있는 것이 사실이다.이는 우리나라의 뒤틀린 의료기기 산업 구조와도 무관하지 않다. 국내 의료기기 기업의 80% 이상이 연 매출이 10억원 이하의 전형적 소기업인데다 철저한 갑을관계로 묶여 있는 이유다.더욱 큰 문제는 이러한 특수한 갑을관계로 인해 이들 기업들은 본인들이 도산 위기에 몰렸는지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데 있다.분명하게 적자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은 알지만 적자 규모를 파악하지 조차 못하고 있는 셈이다.이는 불공정에 가까운 납품 구조에 기인하다. 현재 국내 대다수 의료기기 기업들은 간납사 등에 의해 선납품 후결제 구조로 치료재료나 수술기구를 납품하고 있기 때문이다.말 그대로 일단 만개의 물건을 아무런 담보없이 납품한 뒤 짧으면 3개월, 길면 6개월에서 1년간 기다린 후에 병원이 그 동안 사용한 물건을 집계해서 알려주면 계산서를 끊는 방식이다.그렇기에 이들은 현재 의료 대란으로 수술이 많게는 90% 이상 줄어든 상황에서 자신들이 납품한 물건이 몇개나 쓰였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러다가 6개월 뒤 납품한 만개 중에 100개만 쓰였다면 9천 900개의 재고 부담을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다.현재와 같은 의료 대란이 이어진다면 얼마인지 적혀 있지도 않은 어음을 들고 노심초사 6개월, 1년을 기다리다가 그 어음에 숫자가 적히는 순간이 도산 시점이 되는 것이다.아직은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또 다른 대재앙이 아무런 관심도 받지 못한 채 곪아가고 있다는 의미다.그렇기에 지금이라도 이러한 위기 상황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나아가 이 뒤틀린 유통구조와 납품 방식에 대한 개선 방안도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다.고래 싸움에 새우등이 다 터져나가고 나면 싸움이 멈춰도 새우는 남아있지 않는다. 의사들이 돌아와도 수술할 기구를 납품할 회사는 남아있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다. 지금은 눈에 보이지 않는 새우가 또 다른 의료 대란의 불씨가 되고 있다.
2024-04-29 05:00:00오피니언

병의원 출입 막힌 의료기기업체들...코로나로 유통 수면위로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코로나 감염 우려로 의료기관들이 출입문을 굳게 걸어 잠그면서 의료기기를 납품하는 기업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의료기기 유통 구조의 특성상 가납 형태로 납품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출입 자체가 막히자 골머리를 썩고 있는 것. 이로 인해 일각에서는 이러한 고질적 문제를 하루 빨리 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새어 나오고 있다. 의료기관 출입 원천 차단…가납 형태 납품 구조 직격탄 29일 의료기기 산업계에 따르면 코로나 대유행이 장기화되면서 각 기업들이 재고 파악과 매출 계산에 상당한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국적 의료기기 기업인 A사 임원은 "코로나 대유행이 1년 넘게 지속되면서 타격이 이만저만한 것이 아니다"며 "매출 문제도 그렇지만 의료기관 방문 자체가 차단되니 아예 매출 자체를 잡을 수가 없는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이는 비단 A사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나마 대형 품목이 위주인 다국적 의료기기 기업들은 상황이 낫지만 의료기기 소모품을 납품하는 기업들은 방법이 없다며 한숨을 쉬고 있다. 국내 B의료기기 기업 임원은 "의료기관 내 창고와 수술방에 들어가야 재고를 파악하고 매출을 잡을 수 있는데 지금 몇 달째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며 "당장 계산서 자체를 끊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그렇다면 이들 기업들은 왜 매출을 잡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문제는 의료기기 유통 구조의 특수성에 있다. 상당수 의료기기 기업들은 CT 등 대형 품목을 제외하고는 가납 형태로 물건을 공급하고 있다. 말 그대로 납품 즉시 매출이 일어나는 구조가 아니라 납품 후 사용량에 따라 대급을 지급하는 방식. 가령 일회용 주사기 1000개에 대해 납품 계약을 체결하면 먼저 1000개를 창고나 수술실에 미리 가져다 놓고 몇달 뒤 재고를 파악하며 사용량을 집계해 계산서를 끊는 방식이다. 재고가 400개가 남았다면 600개를 판매량으로 잡아 매출 계산을 하고 다시 부족분을 채우는 식이다. 문제는 많게는 한 달에 몇번씩 진행하던 재고 파악과 매출 계산이 코로나로 인해 완전히 막혀버렸다는 점에 있다. 의료기기사 직원들이 의료기관에 들어갈 수가 없으니 재고 파악도, 매출 계산도 완전히 멈춰버린 셈. B의료기기 기업 임원은 "그나마 중소병원들은 재고가 떨어지는 타이밍에 들어갈 수라고 있는데 대학병원은 아예 접근 자체가 힘든 상황"이라며 "재고 파악이 안되니 매출 집계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귀띔했다. 가납 방식 문제점 수면 위로…대금 지연도 다반사 상황이 이렇게 돌아가자 일각에서는 이번 기회에 가납 형태의 납품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새어나오고 있다. 그 어느 유통 분야에서도 이같은 형태의 계약이 없다는 것. 차라리 재고를 안아야 하는 상황이 오더라도 물건이 들어갈때 대금 지급이 이뤄지는 구조로 바꿔가야 한다는 의견이다. 다국적 의료기기 기업 C사 임원은 "의료기기 업체 직원들의 수술방 출입 문제가 한동안 떠들썩 했는데 지금의 가납 형태의 납품 구조가 존재하는 한 이는 절대 바뀔 수 없는 구조"라며 "수술방에 들어가야 재고를 파악하고 계산서를 끊는데 들어가지 않고서는 방법이 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그 어떤 산업 구조에서도 이러한 가납 형태의 납품 방식을 찾아보기 힘들다"며 "이번 기회에 이 문제를 수면 위로 올려 공론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특히 일부에서는 이러한 관행들이 의료기관들의 우월적 지위에서 일어나고 있는 만큼 이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의료기관과 간납사 등의 횡포로 의료기기 기업들의 손실이 발생하고 이를 메우기 위해 단가 자체가 비싸지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B의료기기 기업 임원은 "최근 한 의료기관에서는 3년전에 가납 형태로 납품한 물건을 그대로 쌓아뒀다가 우리에게 돌려보낸 적이 있다"며 "이미 유통기한을 넘겨 사용할 수도 없는 물품"이라고 털어놨다. 이어 그는 "결국 이러한 손해들을 기업이 다 부담해야 하니 다른 방법으로 이 손실분을 메우는 수 밖에 없다"며 "불투명한 유통 구조로 인해 계속해서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가납의 문제는 이 뿐만이 아니다. 말 그대로 물건을 먼저 받고 사용 후 계산을 하는 방식이다 보니 대금 결제를 지연하거나 사용한 물건값을 주지 않는 경우도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다. 여러 기업들의 물건이 관리자 없이 쌓여있다 보니 자연스럽게 유실이 발생하고 이에 대한 결제와 책임을 놓고 또 다른 갈등이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국내 의료기기 기업 D사 임원은 "말 그대로 물건부터 주는 시스템이고 의료기관이나 간납사에서는 아예 관리할 의지조차 없다 보니 수없이 많은 문제들이 발생한다"며 "사용량과 재고가 안맞는 경우는 거의 열에 아홉이라고 보면 된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면 결국 누군가는 손해를 봐야 하는데 대부분 기업 책임으로 돌아온다"며 "이를 핑계로 1년 넘게 대금을 주지 않거나 다른 기업들의 농간으로 물건이 뭉터기로 없어지는 경우도 다반사이지만 이러한 말도 안되는 문제들이 수십년간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2021-02-01 05:45:56의료기기·AI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