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비만 수술이 임신 가능성까지 높여…난소증후군 개선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비만 수술이 다낭성 난소 증후군으로 인한 불임을 개선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내분비학과 수하니야 사마라싱헤 박사 등이 진행한 다낭성 난소증후군 여성의 자연배란을 위한 비만수술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LANCET에 8일 게재됐다(doi.org/10.1016/S0140-6736(24)00538-5).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의 호르몬 이상으로 난소의 남성 호르몬 분비가 증가해 배란이 잘 이뤄지지 않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PCOS)은 임신 가능 연령의 여성에게 가장 흔한 내분비병증으로 최대 18%의 유병률을 보인다.비만 수술이 비만 여성의 배란 건수를 높여 자연 임신 가능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PCOS가 있는 여성은 PCOS가 없는 여성에 비해 배란성 불임의 위험이 15배 높고 임신 결과가 좋지 않을 위험이 2~3배까지 높아진다.특히 비만은 PCOS의 많은 증상을 악화시킨다는 점에서 2023년 다낭성 난소 증후군 평가 및 관리를 위한 국제 증거 기반 가이드라인은 PCOS를 가진 여성의 비만에 대한 1차 치료법으로 생활습관 교정을 권장한 바 있다.연구진은 선행 연구에서 비만 수술이 배란 주기와 출산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 실제 비만 수술이 배란 발생 건수에 효과를 미치는지 확인하는 연구에 착수했다.PCOS 진단을 받고 체질량지수(BMI) 35 이상의 18세 이상 여성 80명을 위 소매 절제술 또는 행동 중재에 1:1 비율로 무작위로 할당해 52주 동안 생화학적으로 확인된 배란 발생의 수치를 비교했다.2020년 2월 20일부터 2021년 2월 1일까지 참가자를 모집해 각 그룹별로 40명의 참가자를 배정했는데 행동 중재 그룹에서 7명이, 외과 수술 그룹에서 10명이 중도 하차했다.분석 결과 배란 발생 건수의 평균값은 비만 수술군에서 6건, 행동 중재군에서 2건이었다.수술 그룹의 여성은 의료 그룹에 비해 자발적 배란이 2.5배 더 많았고 장기 후유증은 없지만 수술군은 행동 중재군보다 합병증이 많았다.연구진은 "비만 수술은 PCOS를 가진 비만 여성의 자발적 배란 유도에 행동 중재보다 더 효과적"이라며 "따라서 비만 수술은 해당 여성 그룹에서 자연 임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결론내렸다.
2024-06-12 12:24:14학술

내년도 건강보험료 2.89% 오른다

메디칼타임즈=박상준 기자 내년도 건강보험료가 2.89% 오른다. 또 그동안 고가 신약이었던 프레미비스 약제도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7일 2020년 제15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이하 ‘건정심’, 위원장 : 김강립 차관)를 열어, △2021년도 건강보험료율 결정, △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2021년도 건강보험료율은 2.89% 인상된다. 이번 건강보험료율 조정에 따라 2021년에 직장가입자는 월 평균 보험료(본인부담)가 11만9328원(’20.4월 부과기준)에서 12만2727원으로 3399원 증가(보험료율 6.67% → 6.86%)된다. 또 지역가입자는 월 평균 보험료(세대부담)가 9만4666원(’20.4월 부과기준)에서 9만7422원으로 2756원 증가(보험료 부과점수당 금액 195.8원 → 201.5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신약도 등재됐다. 건정심은 건강보험 신규 적용 확대를 위해 3개 의약품(8개 품목)에 대한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이번에 등재된 난임치료제인 레코벨프리필드펜, 파킨슨약 온젠티스, 조혈모세포 이식수술의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및 질환 예방약제인 프레미비스 등 3종이다. 각각 용량과 제형이 달라 품목별로는 8개다. 이들 약들은 기준 투약비용이 비급여시 각각 94만원(1주기), 200만원(1년), 1800만원(치료기간당) 가량 소요되는 약제였으나. 이번 급여 결정으로 각각 19만원, 9만원, 75만으로 환자 부담이 대폭 줄게 됐다. 보건복지부 김강립 차관은 “난임 치료 목적의 과배란 유도 주사제 등 3개 의약품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를 확대 적용하여, 환자의 비용 부담완화와 치료 접근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2020-08-28 05:45:11정책

'체외수정' 난제 실마리 풀렸다…저반응군 지표 발견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체외수정 난제였던 저반응군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 분당서울대병원 난임·가임력보존 클리닉 이정렬, 김슬기 교수팀과 경희대학교 응용과학과 김광표 교수팀은 '오믹스(-omics) 연구를 통해 그 해법을 제시했다. '오믹스'란 생체 내 유전물질(RNA 등)을 이루는 단백질의 활동 등 생명현상과 관련한 중요한 정보를 분석하는 학문으로, 유전체학(geonomics), 단백질체학(proteomics) 등 최근 각광받는 의과학 연구분야로 이번 연구결과는 저명한 국제저널인 프로테오믹스(Protetmics) 최근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연구팀은 난임 부부의 치료를 위한 체외수정(시험관아기) 시술에서 충분한 수의 난자를 얻어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과배란 유도'가 잘 되지 않는 사람의 특성을 연구했다. 그 결과 특정 단백질 3가지(PZP; pregnancy zone protein, RENI; renin, SPRX; sushi repeat-containing protein)를 생체표지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최근 체외수정 성공률의 증가세가 둔화된 이유 중 하나로 꼽히고 있는 '과배란 유도 저반응'은 일반적으로 임신 연령의 증가와 높은 BMI, 난소나 골반관련 수술력, 자궁내막증, 배란장애 등이 원인인 것으로 지목돼 왔다. 하지만 개별 환자에 따른 예측이 어렵고 변수별로 연관성에 차이가 있어 근본적 해결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연구팀은 체외수정 시술시 과배란 유도가 잘 된 환자군과 잘 되지 않은 환자군을 나누고, 난포액을 분석했다. 추출된 단백질을 전량 분석해 확인한 1079개의 단백질 중 두 군에서 차이를 보이는 131개의 표지자 후보 단백질을 모두 분석했다. 그 결과, 이 중 3개의 단백질(PZP, RENI, SPRX)이 기능적,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생체표지자임이 밝혀졌고, 특히 위 3가지 단백질이 '증가 조절(upregulated)'되는 경우 과배란 유도시 저반응군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를 이끈 이정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최근 새로운 연구기법으로 주목되고 있는 오믹스 연구를 통해 체외수정 시술의 가장 큰 난제인 저반응군의 새로운 지표를 발견한 데 의의가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이번 연구 결과가 체외수정 시술 시 저반응군의 예측과 치료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및 치료기술 개발에 중요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 보건산업진흥원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저출산대응 의료기술개발) 지원으로 진행했다.
2017-05-30 10:27:38병·의원

배란 유도, 35세 이상 여성에 문제 유발 위험

메디칼타임즈=윤현세 기자불임 치료를 받는 35세 이상의 여성의 경우 배란 유도가 인공 수정의 실패, 유산 및 다운증후군과 같은 태아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스웨덴에서 열린 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 에서 발표됐다. 런던 브리지 불임, 산부인과 센터의 알랜 핸디사이드 교수는 정상보다 많은 난모세포를 분비하도록 배란을 유도하는 호르몬 요법의 사용이 세포의 감수분열의 과정을 저해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각기 다른 배란 유도 방법에 따른 감수 분열 오차 발생 패턴 및 건수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시험관 시술을 받은 평균 연령 40세인 여성 34명에 대한 조사에서 연구팀은 정자로 수정된 이후 난자의 감수 분열시 발생하는 부산물인 극세포(polar cell)을 비교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건강한 수정란과 손상된 수정란을 구별해 낼 수 있게 됐으며 이는 임신을 시도하는 부부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일반적으로 35세 이상 여성의 경우 난모세포의 수가 적으며 이런 여성의 경우 호르몬 치료를 통해 배란을 이끌어 낸다. 이럴 경우 비정상인 난자의 발생 위험성이 높으며 임신된 아기의 경우 다운증후군이 발생하는 경우도 더 많았다. 호르몬 요법의 경우 감수 분열의 주요한 단계중 23번 염색체를 결합시키는 ‘풀’과 같은 물질을 파괴해 수정전 난모 세포의 염색체 수에 문제를 일으킨다고 연구팀은 추정했다. 그러나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한 더 많은 증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런 연구가 나이가 많은 여성에서 최선의 불임 시술을 찾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2011-07-04 10:18:49제약·바이오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