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갑상선 안질환 치료제 '테프로투무맙' 장기 효과 확인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갑상선 안질환 치료제 테프로투무맙이 장기적인 효과 면에서 합격점을 받았다.투약 완료 후 2년이 지난 시점에서도 갑상선 안질환자의 82%에서 증상에 대한 추가 치료가 필요하지 않았다.독일 마인츠 요하네스 구텐베르크대학 의료센터 조지 카할리(George Kahaly) 박사 등이 진행한 테프로투무맙의 장기 효과 확인 연구 결과가 내분비학회 연례회의(ENDO 2024) 및 국제학술지 Thyroid에 2일 발표됐다(doi.org/10.1089/thy.2023.0656).갑상선 안질환 치료제 테프로투무맙이 장기적인 효과 면에서 합격점을 받았다.갑상선 안질환은 외안근 및 안와 지방 변형과 확장으로 인해 부종, 통증, 발적, 전구증 및 복시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 수용체 억제제인 테프로투무맙은 24주 동안의 임상시험에서 징후와 증상의 개선을 입증한 바 있다.연구진은 테프로투무맙 전체 과정(24주에 걸쳐 8회 주입)으로 치료받은 후 환자가 안구돌출증 및 복시와 같은 증상의 지속적인 개선을 경험할 수 있는지 조사에 착수했다.2상, 3상(OPTIC study) 및 OPTIC Extension(OPTIC-X) 연구에서 테프로투무맙을 7~8회 주입받은 총 112명의 환자가 이 분석에 포함됐다.임상 활동 점수(CAS 2점 이상 개선), 유럽 그레이브스 궤도병증 안과 종합 결과, 디포피아(고먼 등급 1 이상 개선), 프로토시스(2mm 이상 개선), 전반적인(프로토시스+CAS 개선), 질병 비활성화(CAS 1 미만)를 포함한 반응을 최대 72주차까지 추적 관찰했다.이어 그레이브스 안과병증 삶의 질(GO-QoL) 점수 및 기준선에서 관찰된 환자 반응의 백분율도 포함됐다.분석 결과 72주차에 환자의 52/57(91.2%), 51/57(89.5%), 35/48(72.9%), 38/56(67.9%), 37/56(66.1%)이 각각 CAS, 복합 결과, 복시, 프로토시스 및 전체 반응에서 효과를 유지했다.프로토시스의 평균 감소는 2.68 mm (SD 1.92, n = 56), 평균 GO-QoL 개선은 15.22 (SE 2.82, n = 56), 질병 비활성화 (CAS 1 미만)는 40/57 (70.2%)에서 확인됐다.연구진은 "투약 51주 후 관찰된 테프로투무맙에 대한 장기 반응은 대조군 임상 시험의 24주 결과와 유사했다"며 "염증 및 안과 복합 결과 개선은 환자의 90%에서 관찰됐고 거의 70%가 복시 및 전구증의 개선을 보고했다"고 밝혔다.이어 "82%의 환자가 테프로투무맙 최종 투약 후 99주 동안 수술을 포함한 추가 치료를 보고하지 않았다"며 "갑상선 안질환 환자에 대한 테프로투무맙 사용을 뒷받침하는 장기적인 데이터를 갖게 됐다"고 평가했다.
2024-06-04 12:08:10학술

갑상선 안병증 표적치료제 테프로투무맙 연령 확대 예고

메디칼타임즈=원종혁 기자 올해 1월 성인 갑상선 안병증 분야에 첫 표적치료제로 진입한 '테프로투무맙(항체의약품)'이 처방 연령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 인슐린유사성장인자(IGF-1) 수용체 작용제 계열로 3주에 한 번 주사(총 8회)하는 해당 항체의약품이, 최신 임상을 통해 갑상선 안병증을 동반한 환자에서 연령이나 성별, 흡연여부 등에 상관없이 대표적 증세인 안구돌출 등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시했기 때문이다. 스테로이드 주사와 수술적 치료만이 유일한 해결책이었던 상황에서, 항체약의 처방 확대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사진: 테프로투무맙 최근 테프로투무맙의 사용 연령과 성별 등을 놓고 새로운 하위분석 데이터가 나왔다(Abstract OR18-01 https://www.clinicaltrials.gov/ct2/show/NCT03298867). 먼저 테프로투무맙이 진입한 갑상선 안병증은, 중증 자가면역질환으로 심할 경우 시야 손상을 통해 눈이 멀게 된다. 특히 안구돌출을 비롯한 사시, 안구통, 광민감성, 복시 등의 증상도 흔하게 동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갑상선기능항진증(hyperthyroidism)과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갑상선 안병증의 현행 치료기준으로는, 스테로이드 사용과 수술적 치료만이 유일한 상황이라 해당 표적 항체약의 진입이 기대를 모은 이유다. 올해1월말 미국FDA로부터 성인 활동성 갑상선 안구질환 치료제로 첫 시판허가를 받은 적응증을 보면, 인간화 단일클론항체약물인 테프로투무맙은 3주 간격으로 한 번에 8번 주사해 인슐린유사성장인자(IGF-1) 수용체를 차단하는 작용을 가진다. "연령, 성별, 흡연여부 상관없이 안구돌출 평균 3mm 개선" 일단 회의에서 논의된 OPTIC 임상 프로그램의 경우, 중등도 이상의 갑상선 안병증을 가진 42명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2상과 3상임상(171명 등록)에 유효성은 분명하게 나타났다. 위약과 비교해 안구돌출과 시력 악화를 개선하는 분명한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치료 24주차 테프로투무맙 치료군 41명에서는 시력 악화 소견없이 안구돌출 증세를 2mm 감소시켰다. 특히 이러한 개선효과는 테프로투무맙 치료군의 82.9%에서 보고되며 위약군 9.5%와는 효과 차이가 컸다. 이외에도 안와통증과 눈꺼풀 부종, 복시, 삶의질 점수 개선에도 유의한 차이를 확인했다. 그런데 주목할 점은, 이러한 OPTIC 연구를 놓고 새로운 하위분석을 진행한 결과 갑상선 안병증 환자군에서 질환 악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알려진 흡연여부와 연령, 성별에 따른 약물 효과에 차이가 없었다는 대목이다. 책임저자인 시나이메디칼센터 레이몬드 더글라스(Raymond S. Douglas) 박사는 "새 분석결과 성별이나 모든 연령층, 흡연여부에 상관없이 갑상선 안병증의 주요 증세인 안구돌출 개선혜택을 보였다"며 "지금껏 수술적 치료나 스테로이 등에 제한적인 치료법에 의존했던 상황에서 주목할 데이터"라고 밝혔다. 이번 하위분석에는 OPTIC 2상임상에 등록된 79명 환자와, 3상임상 76명 환자 데이터를 평가했다. 그 결과 치료 24주차 테프로투무맙 치료군에서 질환의 악화없이 안구돌출을 최소 2mm 이상 개선한 비율은 위약군 14.9%와 비교해 77.4%로 큰 격차를 보였다. 이는 치료의향분석(intention-to-treat, ITT)에서도 테프로투무맙 치료군과 위약군에서 각각 84.8%, 17.1%로 5배 가까운 차이를 나타냈다. 더욱이 이러한 개선효과가 65세 이상 고령군과 미만 연령층, 남성과 여성, 흡연여부에 상관없이 비슷하게 보고됐다는 점. 위약군 0.4mm와 비교해 전연층에서 평균 3.1mm의 안구돌출 증세 개선이 나타났으며 비흡연군에서는 3.20mm, 흡연군에서는 2.99mm를 개선하며 개선효과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했다. 논문을 통해 "일반적으로 갑상선 안병증 환자에 흡연은 시신경질환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흡연이 안구에 염증 사이토카인을 늘려 섬유아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된다"며 "테프로투무맙은 기존 약물과 달리 흡연자에서도 이러한 개선효과를 보였다는 것은 새로운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안전성과 관련해서는 근육경련을 비롯한 구역, 구토, 설사, 피로, 청력 상실, 탈모, 피부건조, 고혈당, 두통 등이 보고됐다. 임상에서 보고된 대부분의 이상반응들이 경증에서 중등증 수준으로 관리가 가능했지만, 임신부의 경우엔 투여 금기사항에 포함됐다.
2020-04-24 05:45:54제약·바이오

갑상선 안병증 표적치료제 시대, 테프로투무맙 어떤 약?

메디칼타임즈=원종혁 기자 안구돌출, 시력상실 등 희귀 면역질환인 갑상선 안구질환(thyroid eye disease) 분야에 최초 표적 항체의약품이 처방권에 진입한다. 스테로이드 주사와 수술적 치료만이 유일한 해결책이었던 상황에서, 3주 간격으로 주사하는 약물치료제가 글로벌 허가 적응증을 처음으로 확보하면서 본격행보에 나선 것이다. 22일(현지시간) 미국FDA는 단일클론항체 약물인 '테프로투무맙(teprotumumab)'을 성인 활동성 갑상선 안구질환 치료제로 첫 시판허가를 결정했다. 이번 허가 적응증에 따르면, 테프로투무맙은 3주 간격으로 한 번에 8번 주사해 인슐린유사성장인자(IGF-1) 수용체를 차단하는 작용을 가진다. 갑상선 안병증은 중증 자가면역질환으로 심할 경우 시야 손상을 통해 눈이 멀게 된다. 특히 안구돌출을 비롯한 사시, 안구통, 광민감성, 복시 등의 증상도 흔하게 동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갑상선기능항진증(hyperthyroidism)과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갑상선 안병증의 현행 치료기준으로는, 스테로이드 사용과 수술적 치료만이 유일한 상황이라 항체약물 옵션의 진입이 주목되는 이유. 일단 테프로투무맙은 IGF-1 수용체 억제 기전의 인간화 단일클론항체 약물로, 작년말 발표된 2상임상과 3상 결과에서 긍정적인 결과지를 받으며 새로운 갑상선 안병증 치료옵션으로 학계 관심을 받았다. FDA 허가 결정은 중등도 이상의 갑상선 안병증을 가진 42명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2상임상과 다국가 3상임상인 'OPTIC 연구' 결과를 근거로 이뤄졌다. 2상임상의 경우 72주까지 테프로투무맙 치료를 지속했을때 안병증 증세가 유의하게 개선되는 결과를 보인 것. 또한 OPTIC 연구에서는 위약과 비교해 안구돌출과 시력 악화를 개선하는 분명한 차이를 나타냈다. 치료 24주차 테프로투무맙 치료군 41명에서는 시력 악화 소견없이 안구돌출 증세를 2mm 감소시켰다. 특히 이러한 개선효과는 테프로투무맙 치료군의 82.9%에서 보고되며 위약군 9.5%와는 효과 차이가 컸던 것. 이외에도 안와통증과 눈꺼풀 부종, 복시, 삶의질 점수 개선에도 유의한 차이를 확인했다. FDA는 "이번 허가로 치료 옵션이 제한된 중증 질환인 갑상선 안병증 관리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무엇보다 테프로투무맙은 비수술적 치료제로 침습적인 수술치료가 필요한 환자에는 혜택이 클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테프로투무맙은 2015년 4월 신속심사 트랙을 밟다가 2016년 7월 혁신치료제 지정을 받았따. 이후 2019년 6월 희귀의약품 지정 대상에 포함된 바 있다. 안전성과 관련해서는 근육경련을 비롯한 구역, 구토, 설사, 피로, 청력 상실, 탈모, 피부건조, 고혈당, 두통 등이 보고됐다. 임상에서 보고된 대부분의 이상반응들이 경증에서 중등증 수준으로 관리가 가능했지만, 임신부의 경우엔 투여 금기사항에 포함됐다.
2020-01-23 12:00:36제약·바이오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