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정책
  • 제도・법률

|10대뉴스⑩|일반약 수퍼판매-약 재분류 논란

발행날짜: 2011-12-16 12:10:39

시민단체 여론 주도, 약사회 거센 반발로 법 개정 불투명

일반약 슈퍼 판매 여론이 본격적으로 불붙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부터다.

그간 대한약사회는 공휴일과 야간시간 당번약국을 자율적으로 운영해왔으나, 순환제로 운영됨에 따라 당번약국을 찾기 어렵다는 불편 목소리가 높아지기 시작한 것.

약사회는 7월부터 심야응급·연중무휴약국을 5개월간 시범 사업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여론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전국 50여개의 심야응급약국으로는 국민의 의약품 이용 편의성과 접근성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 여론이 급물살을 탔다.

확실한 '저격수' 역할을 했던 경실련에 이어 올해 초에는 25개 시민단체가 연합한 '가정상비약의 약국외 판매 연대'가 가정상비약 약국외 판매를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이런 시민단체와 약사회의 싸움은 엉뚱하게도 의협과 약사회의 직역간 기싸움으로 변질됐다.

6월 복지부가 의약품 구입 불편 해소 방안으로 가정상비약 약국외 판매 대신 의약품 재분류를 추진하겠다고 발표 하자 의협이 발끈하고 나선 것.

의협이 일반의약품 약국 외 판매를 허용하도록 약사법 개정을 당장 추진할 것을 요구하자 약사회는 전문약 400여 종을 일반약으로 전환하라고 반격하며 직역간 싸움으로 몰고 갔다.

한편 복지부는 슈퍼 판매 의약품을 도입하는 방안을 주요 골자로 하는 약사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해 논란을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이었지만 아직도 논란은 현재 진행형이다.

9월말 의약품 약국외 판매를 제도화하기 위한 약사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됐으나 그 상정과 논의가 불투명한 상황.

실제로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안전성 등을 이유로 11월 전체회의에 약사법 개정안 상정을 뺐다.

특히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국회의원들이 약사회 표심을 의식할 경우 사실상 약사법 개정안은 물건너 갈 수도 있다.

내년 2월 임시국회를 앞두고 시민단체가 국회의원 압박용 '낙선 운동' 카드를 꺼내들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