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학술
  • 학술대회

간학회, 간염 대국민 인식 부족 "검진확대 시급하다"

발행날짜: 2016-10-21 10:08:00

설문조사 통해 국민들 질환 인지도 부족 증명

B형 및 C형 간염 환자들이 감염 여부를 알면서도 치료를 받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질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C형간염에 대한 국가검진 시행과 바이러스 간염 치료에 대한 인식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대한간학회(이사장 변관수)는 20일 '제17회 간의 날(liverday.com/liverday_2016)'을 맞아 '일반인 간 질환 인식과 예방접종 및 검진 실태, 알코올 관련 간질환 영향력 인식' 등을 조사해 발표했다.

응답자들이 간암 및 간경변증의 주요 원인으로 가장 많이 꼽은 것은 '음주(75%)'였다.

다음으로 ▲흡연(40%) ▲B형간염(40%) ▲비만(24%)이 꼽혔다. C형간염을 간암 및 간경변증의 원인으로 꼽은 비율은 22%에 불과해, 간경변증 및 간암의 주요 원인으로서의 B형 및 C형간염에 대한 인지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염 질환에 대한 인식도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지하고 있는 간염 종류에 대한 질문에는 B형 간염 92%, A형 간염과 C형 간염은 각각 76%로 인지 수준은 높았지만, 전체 응답자의 86%는 '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의 차이에 대해 인지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간염 질환의 명칭은 알지만 어떤 질환인지는 정확히 모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불어 B형간염은 다른 바이러스성 간염(A형, C형)에 비해 검사 경험자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간염검사 경험 종류를 조사한 결과 B형간염은 49%(980명)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간염 검사를 받아본 적 있다고 응답한 63%를 대상으로 간염검사 경험 종류를 조사한 결과 10명 중 1명(12.2%, 245명)만이 'C형간염 검사경험이 있다'고 답변했다.

간학회 변관수 이사장은 "제17회 간의 날을 맞이해 한국인의 간질환 인지도를 점검해보는 기회를 마련했다"며 "바이러스성 감염인 B형 및 C형 간염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높은 확률로 간경변증, 간암 등의 중증 간질환으로 이행할 위험성이 크므로 예방과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변 이사장은 "검진 확대와 더불어 치료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조사는 전국 20~59세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형태로 진행됐으며, 지난 2013년에 이어 일반인의 간 질환에 대한 인식과 예방접종 및 검진 실태, 지방간∙알코올 관련 간질환에 대한 영향력에 대한 인식 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진행됐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