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급 병상 수를 의과 분야 전체 병상수와 비교하면, 2016년 67만 850병상 중 7만 7892병상으로 11.6%, 2017년 67만 7696병상 중 7만 4604병상으로 11.0%, 2018년 68만 54병상 중 6만 5254병상으로 9.6%으로 분석됐다.
불과 10년 전 의원급 병상 수가 전체 병상 수의 25%에 육박한 것과 비교하면 처음으로 9%대라는 급격한 감소세를 보인 셈이다.
또 하나 주목할 부분은 2017년과 2018년 사이 의원급 병상 수 변화이다.
정신건강의학과 서울 지역 병상 수는 2016년부터 2018년 3년간 982병상에서 994병상, 584병상으로 절반 가까운 감소세를 보였으며, 경기도 역시 4762병상에서 4479병상, 3942병상을, 충남은 1053병상에서 949병상, 753병상 등으로 2016년과 2017년 감소세와 2017년과 2018년 감소세 사이의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문정부 출범 후 의원급 병상 감소 뚜렷 "병실 운영 의미없다"
외과도 서울은 같은 기간 1178병상에서 1158병상, 1058병상을, 경기는 1229병상에서 1132병상, 894병상을, 충남은 639병상에서 587병상, 371병상을, 전남은 182병상에서 174병상, 137병상, 경북은 301병상에서 292병상, 261병상으로 각각 줄었다.
얼마 전까지 병상이 필수인 재활의학과의 경우, 서울은 148병상에서 128병상, 132병상으로 경기는 175병상에서 167병상, 148병상, 충남은 21병상에서 10병상, 10병상으로 경북은 14병상에서 8병상, 0병상으로 눈에 띄게 줄었다.
이는 문케어로 불리는 현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가 대형병원 중심의 급여화와 보상체계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의료전달체계 재정립 합의 도출 실패 후 지속된 복지부의 외래 중심의 의원급 정책 등이 작용했다는 시각이다.
의료계 관계자는 "의원급 병상 수 감소를 지속된 현상이나 현 정부 출범 이후 문케어라는 거대한 파도에 병실을 포기하는 의원급이 눈에 띄게 늘었다"면서 "의원급은 외래 중심, 병원급은 입원 중심의 의료수가 정책으로 의원급 병실 운영은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의료계 다른 관계자는 "복지부 장관이 의원급 병상 축소를 작은 문제라고 표현한 이유를 이제 알 것 같다. 외래 중심 수가 당근책과 스프링클러 설치 등 압박책을 지속하면 의원급 병상은 자연적으로 도태할 것으로 본 것 같다"며 "외과계를 준비하는 젊은 의사들의 진료과 선택과 미래의 불안감 등 고민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