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진료 환자 집중 분석…특히 남성 환자가 많아 최종원 교수 "제2형 당뇨병, 대사증후군 우려 관리 필요해"
최근 5년 사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환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는 최근 들어 소폭 감소 추세로 돌아서 진료 인원의 대비를 이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4일 2013~2017년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를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이 5년간 연평균 증가율 21%로 늘어났으며 남성 환자가 2017년 기준 3만 551명으로 여성 환자 2만 705명보다 47.6% 더 많은 것으로 집게됐다고 밝혔다.
우선 건강보험 가입자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환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해 2013년 2만 4379명에서 2017년 5만 1256명으로 늘어났다.
이중 남성 환자의 진료인원은 2013년 1만 4278명에서 2017년 3만 551명으로 1만 6273명 늘어나, 여성 환자가 2013년 1만 101명에서 2017년 2만 705명으로 1만 604명 늘어난 것에 비해 진료인원 증가폭이 컸고, 연평균 증가율 또한 21.6%로 여성 환자의 연평균 증가율 20.2%보다 다소 높았다.
이에 따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전체 진료비를 살펴보면, 2013년 47억 2000만원에서 2017년 105억 3000만원으로 58억 1000만원이 증가해 연평균 증가율 22.7%를 기록했다. 입원과 외래 전체 진료비는 각각 연평균 증가율 27.4%, 23.2%를 나타냈다.
반면,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의 경우 오히려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구체적으로 2017년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는 2013년보다 5600여명 감소했고, 진료실인원, 10만명당 진료인원, 총 진료비 지표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알코올성 지방간 보다 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비알콜성 지방간의 경우 간경변증이나 간암과 같은 말기 간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음을 경고하며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최종원 교수(소화기내과)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비만,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대사증후군 등과 같은 성인병이 위험인자"라며 "남성 40대, 여성 50~60대에 진료인원이 많은 것은 40대 이후에 이와 같은 성인병이 증가하는 것과 연관되며 여성의 경우 나이와 폐경도 중요 위험인자로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부 환자의 경우 간경변증이나 간암과 같은 말기 간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며 "그리고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는 제2형 당뇨병, 대사증후군과 같은 질환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으며 관상 동맥 및 뇌혈관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심혈관 질환 사망률이 높아서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