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로수바스타틴이 단백뇨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용량에 비례해 혈뇨, 신부전 위험이 동반 상승한 만큼 만성신장질환자(CKD)에 대한 고용량 투약 시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미국 존스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대 역학과 신정임(Jung-Im Shin) 교수 등인 진행한 스타틴 약제와 신장 상태와의 상관성 연구 결과가 미국 신장학회지(JASN)에 19일 게재됐다(DOI: https://doi.org/10.1681/ASN.2022020135).
로수바스타틴은 다양한 스타틴 성분 중 효과 면에서 강력한 편이다. 그만큼 효과와 비례해 부작용의 위험성도 높아질 수 있다는 것. 실제로 로수바스타틴의 80mg 용량 개발은 FDA 승인 당시 혈뇨 및 단백뇨 안전 관련 위험 때문에 중단된 바 있다.
일부 증례 보고 및 임상에서 로수바스타틴은 아토르바스타틴 대비 신장 손상 위험 상승, 신독성 위험 등이 보고됐다는 점에 착안, 연구진은 미국 40개 의료기관에서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신규 로수바스타틴 및 아토르바스타틴을 투약한 약 100만명을 대상으로 3.1년간 예후를 추적 관찰했다.
두 그룹의 CKD 유병률, 심혈관 위험인자 등은 인구통계 측면에서 유사했다. 평균 연령은 60세였으며 48%가 여성, 82%가 백인이었다. 15만 2101명은 로수바스타틴을, 79만 5799명의 신규 아토르바스타틴 투약했는데 대상자 중 횡문근융해증이 있는 환자를 제외했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혈뇨는 로스바스타틴 복용군에서 3.4%, 아토르바스타틴 복용군에서 2.8% 발생했고, 단백뇨는 각각 1.2%, 0.9%였다.
치료 가중치 등 변수를 조정한 이후 아토르바스타틴 대비 로수바스타틴의 혈뇨 위험비(HR)는 1.08에 그쳤지만 단백뇨는 1.17, 신부전은 1.15로 약 15~17%의 위험도 상승이 관찰됐다.
특히 eGFR(추정사구체여과율)이 30mL/min/1.73㎡미만인 환자는 eGFR이 60mL/min/12.73㎡인 환자에 비해 혈뇨 위험이 약 2배, 단백뇨 위험이 약 9배 높았다.
중증 CKD(eGFR 30 mL/min/1.732㎡ 미만) 환자의 44%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권장하는 최대 10mg/일보다 더 높은 로수바스타틴 용량을 처방받았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로수바스타틴 대 아토르바스타틴의 혈뇨, 단백뇨 및 신부전 위험을 검사하는 최초이자 가장 큰 규모의 연구"라며 "분석 결과 아토르바스타틴과 비교했을 때 로수바스타틴 사용은 용량 의존적인 방식으로 혈뇨 및 단백뇨, 신부전 위험을 약간 증가시켰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중증 CKD 환자의 44%가 FDA가 권장하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의 로수바스타틴을 처방받았다"며 "이는 특히 높은 용량을 투약하거나 중증 CKD를 가진 환자에게 로스바스타틴 처방 후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