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개원가

정치권 질타 받는 적십자사 "보여주기식 예산낭비에 MOU 관리 미흡"

발행날짜: 2023-10-19 18:33:39

이종성 의원, 하루에 4300만 원 탕진한 적십자사 메타버스 행사 지적
생명나눔단체 MOU도 지적…협약기업·단체 30% 헌혈 약속 안 지켜

대한적십자사에 대한 정치권 질타가 이어지고 있다. 보여주기식 일일 메타버스 행사에 비용을 낭비하고, 헌혈 업무협약을 맺은 기관이 이를 이행하지 않고 있음에도 별다른 조치가 없다는 지적이다.

19일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실은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메타버스 운영 현황 관련 자료'를 공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적십자사는 지난해 '2022 헌혈자의 날' 행사로 1억2300만 원을 지출했는데, 이 중 4,300여만 원을 소요해 온라인 메타버스 행사를 진행했다.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이 대한적십자사의 보여주기식 예산 낭비와 헌혈 MOU 관리 미흡을 지적했다.

하지만 이 메타버스 행사가 하루 100여 명에 불과한 이용자만 모은 후 폐기돼 일회성으로 끝났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행에 편승하기 위한 전시행정으로 예산을 낭비했다는 것.

구체적으로 '2022 헌혈자의 날 행사 산출 내역서'를 살펴보면 ▲이프랜드 플랫폼 구축·랜드 사용 및 백월 배너 교체 1210만 원 ▲모션 및 코스튬 커스터마이제이션 1210만 원 ▲MC 및 출연진 아바타 오퍼레이터 스마트폰 기기 31대 렌탈 561만 원 ▲MC 및 출연진 아바타 31명 조작 인력 132만 원 ▲메타버스 촬영용 스마트폰 및 노트북 176만 원 ▲메타버스 촬영용 스마트폰 조작 인력 198만 원 등이 지출됐다.

적십자사는 행사 종료 후 플랫폼 활용 여부에 대해 "추가적 활용은 없었으며, 장기 유지 시 막대한 추가 비용이 소요되어 연장하지 않고 보존 후 자동 소멸되었다"고 답변했다. 실제 올해 '2023 헌혈자의 날' 행사는 메타버스 플랫폼 활용 없이 대면 행사로만 진행됐다.

특히 당시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이프랜드 관람객 초청 이벤트로 기프티콘도 증정하는 등 홍보 활동을 펼쳤다. 하지만 메타버스 플랫폼 방문자는 100여 명 안팎에 불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이종성 의원은 "함께 진행된 유튜브 스트리밍 등 다른 대안이 있음에도 하루의 행사를 위해 막대한 예산을 사용해 메타버스 행사를 진행하는 것이 옳은 일인지 의문"이라며 "감염병을 예방하고 새로운 트렌드에 발맞춰 함께 호흡하는 취지는 좋으나, 단순 유행 따라가기에 급급한 졸속 행사는 추후 다시는 이루어져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적십자사가 진행하는 '생명나눔단체 업무 협약'에 대한 지적도 있다. MOU를 기업·단체 10곳 중 3곳은 협약의 필수 사항인 정기 헌혈 운동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는 것.

이 MOU는 정부·공공기관·기업·학교·협회 등이 매년 정기적인 헌혈에 동참하는 등 혈액사업 지원 관련 파트너십을 유지하는 것이 골자다. 안정적 혈액 수급 및 자발적 헌혈문화 확산을 위함이다.

주요 내용은 ▲전 구성원이 정기적인 헌혈운동 참여 협약 ▲헌혈문화 정착을 위한 모범단체로서의 역할 수행 ▲헌혈참여 구성원에 대한 지원 및 배려 등이다. 이 중 정기 헌혈운동 참여 협약은 필수 사항이다.

하지만 이종성 의원실이 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2019~2023. 08. 정기 헌혈 운동 참여 단체 현황'에 따르면 ▲2019년 1249개 단체 중 203개(16.2%) ▲2020년 1348개 단체 중 565개(41.9%) ▲2021년 1473개 단체 중 562개(38.1%) ▲2022년 1586개 단체 중 526개(33.1%) ▲2023년(8월) 1658개 단체 중 569개(34.3%) 기업·단체 등이 정기 헌혈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최근 5년간 정기 헌혈운동에 1회 이하로 참여한 기업, 단체 등은 335개로, 이 중 147개는 최근 5년간 실적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자산운용, STX 중공업, 국립중앙도서관, 영화진흥위원회, 한국백화점협회 등 유명 기업·단체 등도 1회 이하 사례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밖에 141개 단체·기업 등은 협약 이후 단 한 번도 헌혈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적 혈액 수급을 위해 자발적 헌혈문화가 확산 되도록 해당 협약이 더욱 장려돼야 하지만, 협약의 강제성이 없어 유명무실해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이종성 의원은 "고령화 및 저출산 문제 등 복합적 위기가 얽혀 혈액 공급 부족 문제가 고착화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일부 기업과 단체가 해당 협약을 성실하게 이행하지 않아 매우 안타깝다"며 "적십자사는 단순 협약 단체 숫자만 늘리는 것이 아닌, 이행 사항을 상세히 점검하는 등 내실화를 통해 협약의 긍정적 취지를 극대화 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