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 한번에 흉부 엑스레이를 통해 41개 병변을 몇 초만에 판독하고 소견서까지 한번에 출력해주는 국산 인공지능(AI) 모델이 상용화를 추진중에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내 1세대 인공지능 기업인 딥노이드가 내놓은 멀티 모달 생성형 AI 솔루션이 그것으로 차세대 진단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9일 의료산업계에 따르면 딥노이드가 멀티 모달 생성형 AI 'M4CXR'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시험 계획을 승인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M4CXR은 생성형 AI 기반 흉부 엑스레이 판독 솔루션으로 41개 병변을 몇 초 만에 판독해 판독소견서 초안을 자동 생성한다.
딥노이드는 최근 이 제품에 대해 식약처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받아 다기관 임상을 진행 중이며 상용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 진입한 상태다.
기존 유니모달(Unimodal) 기술에 기반한 솔루션은 현재 단순히 병변 여부와 의심 부위만을 판독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하지만 M4CXR은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의 판독소견서 초안을 자동으로 작성한다. 의료진이 곧바로 진료에 참고할 수 있는 실질적 효용을 제공함으로써 판독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M4CXR은 멀티모달 학습을 적용해 이미지와 텍스트를 동시에 분석하는 것이 특징이다. ViT(Vision Transformer)와 LLM(Large Language Model) 기술을 결합해 엑스레이 이미지의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할 수 있게 구현했다.
특히 M4CXR은 단순히 병명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의사가 작성하는 것과 같은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판독소견서 초안을 생성한다는 점이 차별점이다.
1000만 건 이상의 흉부 엑스레이와 판독소견서 데이터셋 학습을 통해 희귀 질환이나 복잡한 케이스까지도 높은 정확도로 판독할 수 있어 의료진의 진단 효율성과 환자 진료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딥노이드의 설명이다.
딥노이드 최우식 대표는 "생성형 AI 기반 의료 영상 진단 기술은 의료의 정확성과 접근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혁신 기술"이라며 "M4CXR 상용화로 딥노이드의 기술적 리더십을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딥노이드는 CT 영상까지 학습 영역을 확장한 신규 솔루션을 개발하며 진단 지원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임상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AI 기반 진단 기술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자체 구축한 원격판독시스템에 의료 AI 솔루션을 결합해 토탈 AI 판독 서비스 플랫폼도 준비중이다.
원격 판독 전 과정을 하나로 통합해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이 시스템은 2026년 상반기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후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