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체질량지수(BMI)라도 안심하긴 이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 세계 성인 5명 중 1명은 정상 BMI에도 복부지방을 가졌고, 이들에선 당뇨병·고혈압·이상지질혈증 등 심대사질환 위험이 최대 1.8배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BMI만으로 비만을 평가하는 현행 기준이 대사질환 위험군을 놓치고 있다고 지적하며, 지방 분포와 근육량을 함께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호주 찰스 스터트대 농촌건강연구소 케디르 아흐메드 등 연구진이 진행한 복부 비만 및 정상 BMI 지수를 가진 성인의 심장 대사 결과가 국제학술지 JAMA Network에 17일 게재됐다(doi:10.1001/jamanetworkopen.2025.37942).
기존의 비만 평가는 BMI 중심으로 이뤄져 왔으나, 지방이 복부에 집중된 사람들에게서 BMI와 독립적으로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지는 현상이 관찰되면서 'BMI 한계론'이 제기되고 있다.
연구진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세계보건기구(WHO)가 2000년부터 2020년까지 91개국에서 수행한 비감염성질환 위험요인 감시(Steps) 조사의 개별 데이터 분석에 나섰다.
연구에는 총 47만1228명의 성인이 포함됐고, BMI 18.5~24.9 범위 내이면서도 허리둘레가 남성 94cm 이상, 여성 80cm 이상인 경우를 '정상체중 복부비만'으로 정의했다.
분석 정상 BMI를 가진 참여자의 21.7%가 복부비만에 해당했으며, 지역별로는 서태평양 지역 15.3%, 동지중해 지역 32.6%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레바논이 58.4%로 가장 높았고, 모잠비크가 6.9%로 가장 낮았다.
복부비만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높은 교육 수준(중등 교육 OR 1.53, 고등 교육 이상 OR 2.38), 실업(OR 1.25), 채소·과일 섭취 부족(OR 1.22), 신체활동 부족(OR 1.60) 등이 확인됐다.
주목할 점은 정상 체중 복부비만이 주요 대사질환 위험과 뚜렷하게 연관됐다는 것.
정상체중 복부비만군은 비복부비만 정상체중군 대비 고혈압 위험이 1.29배, 당뇨병 1.81배, 총콜레스테롤 상승 1.39배, 중성지방 상승 1.56배 높았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연령, 성별, 생활습관 등을 보정해도 이러한 연관성은 유지됐다.
연구팀은 "BMI는 체중 대비 신장으로 계산되는 단순 지표로, 지방의 분포나 근육량을 반영하지 못한다"며 "정상 체중이라도 허리둘레 측정이 필수적이며, 국가 단위의 비만 관리 기준 역시 BMI 외 복부비만을 포함하도록 보완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국내 전문가의 견해와도 맞닿아 있다.
16일 개최된 대한심장학회 KSC 2025 학술대회에서 고려대안암병원 한병덕 교수(가정의학과)는 '활력 징후로서의 체중, BMI로 충분할까' 발표를 통해 같은 견해를 피력했다.
한 교수는 "BMI는 신장 대비 체중 비율로 산출돼 간편하고 대규모 역학 연구에서 유용하지만, 체지방 분포나 근육량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며 "따라서 단순히 BMI 하나로 건강을 평가하는 건 불완전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같은 BMI라도 체지방률이 높으면 대사증후군 위험이 증가하고 동양인은 서양인보다 내장지방 비율이 높다"며 "BMI 30에 체지방률이 20%에 불과하면 대사적으로 건강할 수 있고, BMI 21에 체지방률이 34%라면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을 수 있어 BMI, 허리둘레, 체성분 분석을 함께 봐야 한다"고 했다.
실제로 국내 기준은 BMI 25 이상을 비만으로 정의하되, 남성 허리둘레 90cm, 여성 80cm 이상이면 복부비만으로 진단한다.
그는 "비만 진단을 단일 지표로 단순화할수록 치료 타이밍을 놓칠 수 있어 개인별 지방 분포와 근육량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며 "이제는 BMI 하나로 비만을 정의하던 시대를 넘어, 지방이 어디에 얼마나 쌓여 있는지를 함께 보고 치료하는 시대로 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