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학술
  • 연구・저널

심뇌혈관질환 위험성 인지도 높지만 예방 활동은 저조

발행날짜: 2023-07-06 11:00:00 업데이트: 2023-07-06 22:35:03

대한심뇌혈관질환예방학회, 2000명 대상 인식 설문
"관련 질환 발생 가능성 우려에도 실질적 조치 미흡"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인지도는 높지만 예방을 위한 활동은 부족하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6일 대한심뇌혈관질환예방학회(회장 이원영)는 심뇌혈관질환 대국민 인식조사 진행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2023년 6월, 만 20세 이상 전국 성인남녀 총 2000명을 대상으로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인식도 및 심뇌혈관질환 예방 수칙에 대한 이해도, 그리고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해제 이후 생활습관 변화에 대해 실시했다.

조사 결과 국민들이 평소 가장 걱정하는 질환은 암(64.0%), 심뇌혈관질환(44.3%), 치매(34.4%) 순이었고, 10년 내에 앓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질환은, 근골격계질환(58.5%), 심뇌혈관질환(48.3%), 암(45.9%) 순이었다.

또 응답자의 45.0%가 언젠가는 심뇌혈관질환을 앓을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는 생활습관 관리 부족(47.1%), 가족력(31.5%), 기저질환이 있어서(7.7%), 건강관리에 신경 쓸 여력이 없어서(7.6%) 등의 이유로 설명됐다.

심뇌혈관질환 예방 수칙에 대한 인지 정도를 살펴보면, 예방 수칙을 들어 본 적은 있지만 자세한 내용은 모르는 비율이 55.4%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고, 이어서 예방 수칙에 대해 모른다는 응답 비율은 33.1%로 나타났다.

작년에는 9.2%에 그쳤던 '예방 수칙을 들어보았고 그 내용도 알고 있다'는 응답의 비중이 올해에는 11.5%로 상승했다. 하지만, 대다수의 응답자가 각 예방 수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에 비해 아직 예방수칙에 대한 관심과 인지도는 부족한 상황이다.

최근 1년 이내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측정 검사 경험이 있다고 답 한 비율은 각각 77.3%, 60.6%, 57.5%였으며, 응답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월평균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측정 검사 경험이 있다고 답한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심뇌혈관질환 예방 수칙 중에서 가장 지키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예방수칙은 스트레스 관리(23.1%)로 작년과 동일했고, 그 뒤로 운동(18.5%), 식단관리(13.9%), 체중 관리(10.1%) 순서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해제 이후 생활습관의 변화에 대한 조사에서는, 흡연량과 음주는 긍정적 변화율이 각각 50.8%, 44.0%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트레스의 경우, 작년 조사에서 코로나-19 이후 부정적으로 변화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52.6%로 높았는데 이번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해제 이후에도 부정적 변화율이 40.0%로 스트레스가 더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번 인식도 조사 결과를 요약하자면, 국민들은 심뇌혈관질환이 자신에게 발생할 가능성을 높게 생각하면서도 예방에 대해서는 관심 및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년 조사와 비교했을 때, 예방수칙의 내용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소폭 상승했으나 그 중요도에 비해서는 부족한 상황이다. 심뇌혈관질환 예방수칙 중 스트레스 관리가 여전히 어려운 부분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에도 스트레스 증가가 관찰됐다.

이원영 회장은 "학회가 금연, 매일 30분 이상 운동, 정기적인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측정 및 관리 등과 같은 심뇌혈관질환 예방 수칙에 대해서 홍보하고 있다"며 "코로나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흡연량과 음주는 긍정적 변화율이 높았지만,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긍정적 생활습관증진을 위해서 더욱 노력을 다하겠다" 고 말했다.

댓글 0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