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와 충청남도의사회가 지역 의료 현안 논의 강화를 위해 상시 소통 체계를 구축하고, 지역수가 신설을 포함한 정책 개선 방안을 본격 추진한다.
20일 의료계에 따르면, 충남도는 충남의사회에 정책 제안 답변서를 보내 의료 정책 논의를 위한 '핫라인'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충남의사회 이주병 회장과 임원진들은 지난 3월 12일 충남도청에서 도지사를 방문해 여러 지역 의료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정책 제안을 한 바 있다.
충남도는 이 답변서를 통해 의료 취약지 개선과 지역 의료 활성화를 위한 핵심 대책으로 '지역수가' 신설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충남도는 지난 3월 19일 있었던 ‘의료개혁위원회’ 결정에 따라 지역의료지도에 기반한 수가 체계를 신설하기로 한 것. 또 시·도 및 기초 지자체 단위에서 분만·응급 등 필수의료 수요와 공급 분석, 실제 환자 이동 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취약지역을 재편하겠다는 계획이다.
충남도는 충남의사회가 제안한 공공기숙사 건립과 간호사 등 직원 채용 시 특례 적용에 대해서도 전향적 입장을 밝혔다. 충남도는 전라남도 영암·진도·신안 등 3개 지역에서 지역소멸 대응 기금을 활용해 30~40억 원 규모의 공공기숙사를 건립 중이다. 해당 모델의 효과성을 검토한 뒤 도입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도내 9개 시군이 인구 감소 지역에 해당돼 필수의료 유지를 위한 장기적 대책 마련이 불가피하다는 점도 언급했다. 시니어 의사 채용 확대와 관련해서는 양측 모두 수요 정보의 선제적 공유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보건복지부와의 연계를 통해 시니어 의사 제도를 적극 추진하고, 보건소·의료원 등 관련 기관의 채용 수요를 사전에 파악해 중장기 정보를 공유하기로 했다.
이 외에도 충남도는 ▲의료원 거버넌스 개선 ▲내포신도시 종합병원 건립 ▲보건소 기능 재정립 ▲응급의료체계 확충 등의 정책을 제시했다. 특히 보건소를 진료 중심에서 건강 증진 및 예방 기능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방향성도 제시했다.
충청남도의사회는 "이번 건의는 지역 의료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도민의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안 제시"라며 "도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제안된 내용들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