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타임즈=]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이 우리나라 의료기관 가운데 처음으로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JCI,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인증을 받음에 따라 국내 대형병원과 복지부 의료기관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세브란스병원은 5일 미국 JCI로부터 인증 통보를 받았다고 발표했다.
JCI는 JCAHO(Joint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ospital)의 자회사로 국제적인 교육과 컨설팅, 의료기관평가를 하고 있으며, 2000년부터 국제인증을 해 왔다.
JCAHO는 1951년 미국내 병원들을 평가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법인 JCAH에서 명칭이 바뀐 것으로 자국 의료기관의 질 향상과 표준화, 의료기관 인증, 교육, 컨설팅을 하고 있다.
물론 JCI는 국제기구가 공인한 의료기관평가가 아니라 미국의 비영리단체의 평가에 불과하다.
다만 미국 의료가 국제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지 않고, 이미 세계 23개국에서 125개 병원이 인증을 받았으며, 이중에는 세계적인 의료기관들이 대거 포함돼 있다는 점에서 공신력과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박창일 병원장은 “국내 처음으로 까다로운 국제 표준 의료서비스 심사를 통과함에 따라 앞으로 해외 유수 병원들과 경쟁할 수 있는 동일한 환자치료 조건을 갖춘 글로벌 의료기관으로 탄생하게 됐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미국 민간보험사들이 자국의 환자들을 다른 나라 의료기관에 진료 의뢰할 때 JCI 인증 여부를 최우선적으로 확인하고 있어 앞으로 해외환자 유치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게 세브란스병원의 설명이다.
특히 세브란스병원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의료기관평가의 경우 시설과 환자 만족도 등을 중심으로 평가하지만 JCI는 철저하게 의료적 측면을 평가한다는 측면에서 의료서비스의 글로벌 스텐다드를 인정받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따라서 세브란스병원의 JCI 인증은 다른 대형병원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당장 고대 안암병원이 JCI 인증을 받기 위해 평가 1단계인 컨설팅 과정을 밟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세브란스병원 관계자는 “현재 고대 안암병원 외에 일부 대학병원들도 벤치마킹을 요청하는 등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5월 대한병원행정관리자협회 주최 학술대회에서 세브란스병원이 JCI 인증에 대해 소개하자 다수 참석자들이 질문을 던졌고, 병원협회도 최근 JCI Ann Jacobson 상임이사를 초청해 특강을 연 바 있어 국내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와 달리 몇 년 전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아산병원 등이 JCI 인증을 받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지만 신청서를 접수하지 않았다.
이는 비용부담이 적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체 평가항목이 1천여개에 달하고, 국내 의료기관 현실과 맞지 않지 않는 측면이 많았기 때문이다.
세브란스병원은 JCI 인증을 받기 위해 직접비만도 2~3억원이 투입됐으며, 인력 및 시설 보강비까지 포함하면 10억원 이상이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여기에다 JCI가 국제의료기관 인증이라고 하지만 미국의 잣대일 뿐이어서 비용과 노력에 비해 실익이 많지 않다고 평가절하하는 지적도 없지 않다.
보건산업진흥원 유선주 연구원은 “JCI와 우리나라 의료기관평가는 평가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JCI 인증을 받으려는 국내 의료기관이 많아진다 하더라도 복지부 의료기관평가의 위상이 훼손되진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하지만 복지부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불신이 팽배하고, 해외진출을 노리는 의료기관들이 증가함에 따라 국제인증에 대한 관심은 앞으로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복지부 역시 JCI를 의료기관평가의 궁극적인 모델로 삼고 있다.
복지부 김강립 의료정책팀장은 5일 ‘의료기관평가 발전방향 모색’ 공청회에서 “국가인증을 희망하는 의료기관이 자발적으로 평가를 신청하면 평가후 공인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아시아 의료기관평가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것이 복지부의 구상이다.
JCI가 민간기구라는 점에서 복지부 국가공인과 다르지만 의료기관의 자발적 신청에 따라 평가후 인증하는 시스템이라는 측면에서 흡사하다.
JCI나 복지부가 의료기관평가 수출을 노리고 있다는 점도 유사한 발상이다.
보건산업진흥원 유선주 연구원은 “정부 의료기관평가도 서면평가에서 현장평가 중심으로 강화하고, 의료의 질적 평가비중을 높여나가 궁극적으로 아시아 의료기관평가시장 선점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JCI나 복지부 의료기관평가나 궁극적 방향은 일치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외환 메디노블스 팜카드 0.7% Cashback!!!
▷외환 메디노블스가드 담당 김영호 입니다.
▶메디노블스카드는 1.의약품&의료기기 0.7%캐쉬백 / 2.일반가맹두 0.5캐쉬백 3.무이자 3개월은 기존 팜카드와 동일합니다.(연회비 없슴)
▶평생운영하시는 약국과 병의원(한의사/수의사포함)!!! 꾸준이 모으시면 티끌모아 태산이 됩니다.^^~
☞지금 곧 전화주시면 전국 어디든 달려가 발급해 드리겠습니다.
□H.P:010-2825-0558 김영호입니다
□e-mail: yes4ucard@naver.com
감사합니다.^^
조제료 인상
2007.1.01 보건복지부 고시
조제료
1일: 3,530원
2일: 3,770원
3일: 4,160원
5일: 4,690원
7일: 5,230원
14일: 7,220원
15일: 7,420원
16일-27일:8,880원
28일-30일: 9,460원 <--- 의약 분업 시작 당시 4,710원 (현재 2배 이상 인상 됨)
31일-39일: 11,550원
40일-59일: 12,190원
60일-89일: 12,760원
90일: 13,060원
<30일 처방시 조제료>
의약 분업 실시 전 1원(실제로는 0원)
의약 분업 시작 당시 4,710원 (현재 2배 이상 인상 됨)
의약 분업 전과 비교 시 9460배 인상
연고나 파스 한개 집어서 주는 값이 3,530원
혈압약, 당뇨약 30개들이 한통 집어서 주는 값이 9,460원
그런데 의사는 어떠한가?
파스를 한개주던지,연고를 한개 주던지
의사들은 환자가 찿아오면 이 환자의 질병이
목숨과 관계 되는 것인지 아닌지서 부터 판단한다.
비아그라를 하나 처방 한다고 해도
이 환자가 심장 질환이 있나에서 부터 여러 가지를 고려 해서 판단 해야 한다.
목숨과 관계되는 질환인데 파스 하나주고
보내던지 연고 하나 주고 보내서
환자가 잘못되면 ....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의사들 보아라
우리 약사들 리베이트로 최소 5% 먹는다.
도매에서 약 받을 때 5% 않 주면 약 않 받아 버린다.
도매에서 않 받고 제약회사에서 약 받아도 최소 5%는 주거든
많게는 10%에서 30% 주는 것도 있다.
이제 너희 의사들 끝나는 날도 얼마 않 남았다.
우리는 또 매약도 있다.
그리고 환자가 2달 처방 받아도 환자가 돈이 없다면서
1달 치만 가져가면 건강보험으로 2달치 청구해서 먹을 수도 있다.
물론 그 약도 절약해서 다른 환자에게 줄수 있으니 따따블 이익이다.
또 너희 의사들이 아무리 정품약 처방해도
우리가 모양 비슷한 카피약으로 환자에게 주면 된다.
이런 약일수록 원가 500원 짜리 약을 원가 300원으로 줄수 있으니
1알당 200원씩 우리가 더 먹을수 있다.
그것만 해도 30일 치면 6,000원이고 60일치면 12,000이다.
또 이런 약일수록 도매상에서 챙겨 주는게 더 많거든.
절대 환자들은 알수가 없다.
그럼 우리는 정품으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고
정품 대신 더 가격이 싼 카피약 쓰니 그 차액 만큼 더 챙길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환자가 2달치 처방 받고 오면 너무나 좋다.
그리고 너희 의사들이 100mg이나 80mg 짜리 처방해도
우리가 50mg이나 40mg 으로 바꾸어 줘 버리면 된다.
환자가 뭘 알겠어.
그럼 우리는 또 처방전 나온 대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을 수 있고
환자들에게 100mg이나 80mg이라고 하면서 약값을 더 받을 수도 있다.
의사들 너희들 이제 끝났다.
정말 뭔말인지 모르고 하는갑네...
부럽습니다. 댓글을 그렇게 달고도, 먹고 사는게 잘 유지되는 것 같아서..
정부가 이런거 하려고 하면 데모하는 게 아니라, 대한민국 정부가 이렇게 할 줄이나 알겠습니까?
기사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파악한 후 글을 쓰시면 더 좋을텐데요. 글도 인격입니다.
뭔말인지 알겠제?
만약에 대한민국정부가 이렇면 난리나겠지?
그쟈?
나가 생각하기에는 진작에 정부나 공익기관이
이런것을 대처했다면 문제는 진작에 달라졌겠지
하나 만약에 정부가 그렇게 할려고 했다면
으사넘들 또 데모하겠지????
그쟈?
혹시 이게 뭔말인지는 아는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