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병상 수 늘었지만 신규 간호사 미채용 업무강도 급증"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병원에 병상 수는 늘고 있지만 신규로 간호사를 채용하지 않아 업무강도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수도권 A종합병원 간호사)"간호사 업무 과다로 초과 근무가 일상이 됐다. 이로 인한 스트레스와 휴식 부족으로 언제까지 환자 곁을 지킬지 모르겠다."(전남지역 B병원 간호사)이는 최근 병상 수 증설에 따른 급성기 병원 간호사들의 호소다.간호협회는 건강보험통계 분석 결과 병상 수 확대에 따라 간호사 업무 강도가 높아졌다고 주장했다. 병원급 이상 급성기 의료기관이 매년 병상 수를 확대하면서 간호사 업무강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신규 간호사가 배출되고 있지만 병상 수 증가 폭이 워낙 커 간호사들의 근무환경이 열악해졌다는 지적이다.대한간호협회는 건강보험통계(2018년∼2022년)를 분석한 결과 요양기관 병상 수는 2018년 말 70만7349병상에서 2022년 말 72만4212병상으로 1만6863병상(2.38%)이 늘었다고 25일 밝혔다.특히 병원급 이상 급성기 의료기관의 병상 수는 35만6067개로 5년전 대비 3만8661개 병상이 늘었다. 이로 인해 병원급 이상 급성기 의료기관들의 병상수가 전체 병상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8년 말 44.88%(31만7406개)에서 2022년 말에는 49.17%(35만6067개)로 4.29%포인트나 급증했다.병원급 이상 급성기 의료기관들 가운데 종합병원(10만7290병상→11만1005병상)과 병원(16만5302병상→19만7005병상)들이 경쟁적으로 병상을 늘렸다. 간협은 그 결과 상급종합병원 대비 종합병원과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노동강도는 2018년 말 1.73배와 5.66배에서 2022년 말 1.8배와 6.84배로 각각 높아졌다고 분석했다.이 기간 의료기관 활동 간호사 수는 2018년 말에서 2022년 말까지 5만8913명(19만5314명→25만4227명)이 늘어났다. 이 기간 신규간호사 면허자 수는 10만7235명이 늘어났다.문제는 신규간호사의 절반만큼만 병원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늘고 있지만, 매년 1만여 명의 간호사가 열악한 근무환경을 견디지 못해 이탈하는 수가 많다는 점이다.간호협회는 간호사 업무강도 상승과 이탈 원인으로 일선 병원의 병상 수 확대로 꼽았다.실제로 병원급 이상 급성기 의료기관들의 병상 수가 늘어난 배경에는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증가가 있었다. 최근 5년간 상급종합병원은 3개 기관(42개→45개), 종합병원은 17개 기관(311개→328개), 병원은 무려 190개 기관(1465개→1655개)이 새로 문을 열었다. 병원급 의료기관의 경우 같은 기간 간호사 수는 1만77명이 늘어나는 데 그친 반면 병상 수는 3만8661개가 급증하면서 간호사 근무환경은 더욱 열악해졌다는 지적이다.최근 5년간 의료기관 활동간호사 수도 병상 수와 함께 병원급 이상 급성기 의료기관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1만4251명(3만6593명→5만844명)이 증가했다.이어 서울 1만3980명(4만7763명→6만1743명), 대구 4920명(1만541명→1만5461명), 부산 4106명(1만6696명→2만802명), 경남 3102명(1만2862명→1만5964명), 인천 2907명(1만355명→1만3262명), 충남 2328명(5284명→7612명), 광주 1948명(7990명→9938명), 대전 1928명(6274명→8202명), 경북 1573명(8921명→1만494명), 강원 1489명(5509명→6998명), 전북 1423명(7329명→8752명), 울산 1347명(4003명→5350명), 전남 1257명(8051명→9308명), 충북 962명(4382명→5344명), 세종 837명(171명→1008명), 제주 555명(2590명→3145명) 순으로 나타났다.대한간호협회 관계자는 "병원급 이상 급성기 의료기관에서 무분별하게 병상을 늘이는 것을 막고 간호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해 노동강도를 낮추려면 병원 설립요건을 강화하고 간호사를 간호필요도에 근거해 적정하게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강제하는 법적 제도적인 장치마련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23-09-25 11:53:47병·의원

복지부, "도시지역 신규병상 허가 억제"

메디칼타임즈=전경수 기자앞으로 도시 지역에서 신규 병상 및 병상수 확대 허가를 받는 것이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30일 과천시민회관에서 전국의 시군구청장이 모두 모인 가운데 '2004년 중앙정부-지방정부간 보건복지정책 협의회'를 열었다. 복지부가 생긴 이래 처음으로 전국의 시군구청장이 한 자리에 모인 가운데 열린 이날 행사에서는 정부가 보건복지정책 전반을 소개하고 각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이날 복지부는 ▲요양병상의 지방균형배치 유도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공공보건의료 확충 등의 내용을 담은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의 복지부 소관 분야에 대해 지자체장들에게 설명했다. 이에 따르면 앞으로 복지부는 제1차 병상수급계획을 새해부터 추진하고 요양 병상의 지방균형배치를 유도하기 위해 전국을 병상과잉지역, 병상관찰지역, 병상부족지역으로 3등분 하게 된다. 주로 도시지역에 해당되는 병상과잉지역은 앞으로 각 지자체로 하여금 적정 병상수에 이를때까지 신규 허가를 자제토록 하는 동시에, 기존 병상을 요양병상으로 전환할 경우에는 국가에서 자금을 융자해 주기로 했다. 복지부는 일단 지난해 12월 각 지자체에 하달된 병상수급기본시책에 따라 각 시도에서 ‘지역병상수급계획’을 수립하게 했으며 앞으로 급성기 병상에 대한 세부적인 조정계획을 전국적으로 수립할 예정이다. 국비 3,266억원을 투입해 진행되는 제1차 병상수급계획은 2007년까지 군 지역의 1천명당 병상수를 현재 6.2명에서 2008년 7.2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며 시 지역은 현재의 7.2명 수준을 그대로 유지할 방침이다. 또 정부는 앞으로 각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병상효율성 평가’를 실시해 기준에 못 미치는 의료기관은 병상수를 자체적으로 감축하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게 된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의 인구 1천명당 급성병상수는 5.2개로서 OECD평균의 3.1개보다 월등히 높은 반면, 요양병상수는 0.4개로서 OECD 4.0개에 크게 못 미친다. 또 복지부는 공공보건의료 확충 사업을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접근하기 위해 2009년까지 ‘국립대병원-지방공사의료원-보건소’를 3대 축으로 하는 전달체계를 구축, 민간의료기관이 담당하지 못하는 포괄적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전국의 10개 국립대병원에 분원 형태로 지역암센터, 재활병원, 노인전문병원을 신설, 이를 하나로 묶은 ‘공공의료단지’를 구성하며 국립대병원이 없는 인천, 울산, 경기에는 새로운 국립병원을 신설할 방침이다. 또 복지부는 우수 한약처방을 개발해 한약제제 전문제약회사를 유치, 난치성 및 성인병 특효처방을 제약화하고, 한약효능검증센터를 설립해 한약관련 지적재산권을 확립해 나가는 등의 한방산업단지 조성 사업 세부계획도 발표했다. 이밖에도 복지부 소관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에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식약청·질병관리본부·독성연구원이 이전하게 될 오송생명과학단지 조성 사업 ▲앞으로 매년 1,700여억원씩을 투자하게 될 노인요양시설 확충사업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지방지원 확대 사업 등이 포함돼 있다. 정부는 지난 해 11월 "2004년 2월에 ‘제1차 국가균형발전 5개년계획’을 수립, 국가균형발전시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이번에 발표된 내용은 이 가운데 복지부 소관 사업내용이다. 2003년 12월 18일에는 이와 관련한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바 있다.
2004-01-31 08:37:46정책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