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제약·바이오
  • 국내사

리베이트 쌍벌제 적용 최초 대학병원 교수 나올까

이석준
발행날짜: 2015-08-31 09:17:40

서부지검, K대 병원 리베이트 사건 발표…제약사 7곳 연루

리베이트 쌍벌제가 적용된 대학병원 교수 적발 사례 나올까.

지난해 제약업계를 강타한 K대 병원 리베이트 사건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서부지방검찰청 정부합동 의약품 리베이트 수사단(단장 이철희 부장검사)은 31일 K대 병원 김모 교수가 2012년 3월 16일부터 지난해 10월 17일까지 7개 제약사로부터 약 2028만원의 리베이트를 수수해 불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

김모 교수는 제약사 영업사원이 선결제해 놓은 업소에서 공짜로 술을 마시거나 아예 신용카드를 받아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7개사 중 다국적제약사는 1곳이 포함됐다. 이중에는 국내 최상위제약사가 대거 이름을 올렸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2012년 C대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도 검찰 리베이트 조사를 받았지만 혐의가 확정되지는 않았다. K대병원 교수 혐의가 사실로 밝혀진다면 쌍벌제 적용 첫 리베이트 대학병원 교수 적발 사례가 된다"고 말했다.

이외에 검찰은 미국계 의료기기 회사 A사 한국지사장 A(46)씨와 B제약사 영업이사 B(46)씨 등 업계 관계자 7명과 이들로부터 리베이트를 챙긴 C(47)씨 등 의사 4명(K대병원 교수 포함)을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A씨는 2013년 1월부터 올 2월까지 해외 제품설명회 등 명목으로 정형외과 의사 74명을 방콕이나 하와이 등지로 데려가 골프 관광을 시켜주는 수법으로 총 2억4000만원 상당의 리베이트를 제공했다.

제약사 영업이사 B씨는 2010년 9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의사 461명에게 500여차례에 걸쳐 약 3억5900만원을 제공한 혐의다.

B씨는 의사들에게 논문 번역료나 시장조사 응답 보상금을 지급하는 식으로 리베이트를 제공했다.

검찰은 리베이트를 뿌린 회사들과 의사 339명은 보건복지부 등 담당 기관에 행정처분을 의뢰했다.

받은 금액이 수십만원 수준인 의사들은 행정처분 의뢰를 하지 않았다.

한편, 제약업계는 이번 사건과 투아웃제 적용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적용시 최초 사례가 된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