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뇌사자의 장기기증률을 높이기 위한 범국민적이고 장기적인 프로젝트가 첫 발을 뗐다.
대한이식학회는 지난 19~20일까지 양일간 곤지암리조트에서 제8차 윈터심포지엄을 열고 뇌사장기 구득에 있어 인센티브 지급 방식을 달리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안규리 이사장
이식학회 안규리 이사장(서울대병원·신장내과)은 "장기기증자의 숭고한 취지를 살릴 수 있는 다른 방식의 보상 방안을 고민할 때가 됐다"며 "장기기증을 문화로 정착시킬 수 있는 강력한 무엇인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 이사장에 따르면 지금까지는 뇌사장기 구득시 금전적으로 보상해왔고, 실제로 장기기증률을 높이는데 일부 작용했다.
이와 더불어 한국은 법적으로 모든 2, 3차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잠재 뇌사자에 대한 의무신고제를 도입하면서 아시아계 장기기증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실제로 장기이식학회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지난 2002년도 장기기증 건수는 36건에 불과했지만 2015년도에는 500건을 훌쩍 넘겼다.
이처럼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지만 장기기증이 문화로 자리를 잡으려면 다른 방식의 보상정책이 필요하다는 게 안 이사장의 설명.
이 같은 논의는 세계 이식학계의 큰 흐름. 최근 이스탄불은 뇌사 기증자의 가족이나 친척에게 제공하는 금전적인 보상을 개선하자는 선언문을 준비 중이다.
한국 또한 뇌사 장기기증자에게 금전적으로 보상하는 국가인만큼 세계적 흐름에 발맞춰 논의를 시작한 것이다.
이번 심포지엄에 발제를 맡은 이화여대 법대 김현철 교수는 "2010년 이스탄불 선언 이후 장기거래와 이식관광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한국의 보상 방식에 대해서도 적절한 조치와 해명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일선 의료기관에선 "금전적 보상이 사라지면 기증률이 감소하는 게 아닌가"하는 우려도 있어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계명대 동산의료원 김형태 교수(이식혈관외과)는 "장기구득 코디네이터의 예측으로는 현재 장기기증 지원금이 없으면 30~40%의 기증 감소가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장기기증률을 유지하면서 지원금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안규리 이사장은 "지원금 지급으로 기증률을 유지하기도 하지만 돈이 거래되다보니 일부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며 "국가가 장례 대행을 맡아주는 등 장기기증자의 숭고한 취지를 살리면서 금전적 인센티브 이상의 보상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