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P-HIS‧닥터앤서 이은 정부예산 투입 프로젝트 공모 응급의료기관 둔 병원과 ICT 기업 결합한 '컨소시엄' 대상
병원정보시스템과 정밀의료서비스 사업에 이어 AI를 기반으로 한 응급의료시스템 개발이 추진된다.
최대 3년 간 180억원의 정부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으로 종전 사업처럼 컨소시엄 형태로 추진돼 사업권을 둘러싼 대형병원 간 경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은 ‘AI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사업’ 추진키로 하고 사업을 수행할 기관 공모에 돌입했다.
이번 응급의료시스템 개발사업의 경우 기존에 정부가 의료계를 대상으로 추진 중인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의 3탄이다.
고려대의료원의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과 서울아산병원의 'AI 기반 정밀의료 서비스(닥터앤서)'에 이어 대규모 정부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이다.
이에 따라 사업에는 정부 예산이 최대 3년간 180억원이 투입되며, 종전 사업과 마찬가지로 의료기관과 ICT 기업 등의 공동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것이 참여 조건이다.
의료기관의 경우 권역 및 지역응급의료센터, 일반 의료기관 등 3개 이상의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하며, ICT기업 역시 AI, 클라우드, 5G 등 신기술을 활용, AI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을 위해 의료기관과 공동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한다.
이 중 의료기관의 경우 컨소시엄 주관기관은 권역(35개) 및 지역(126개) 응급의료기관 운영 중인 의료기관만 가능하며,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는 필수 참여기관으로 지정된다.
여기에 국립중앙의료원을 제외한 3개 이상의 의료기관 참여가 원칙이다.
또한 협단체 등 비영리기관도 참여 가능하며, 참여시 구체적인 역할을 명시해야 한다.
진흥원 측은 "4대 응급질환(심혈관, 뇌혈관, 중증외상, 심정지) 대상으로 응급의료 단계 별로 적용 가능한 AI 구급활동 지원서비스 등을 개발하는 것"이라며 "병원 응급실 처치 구간별 AI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로 응급환자의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추진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최적의 응급환자 처치, 이송 등을 통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ICT 신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며 "덴마크와 일본은 인공지능 상담원과 구급차와 병원 응급실 간 데이터 연계를 지원하는 응급의료시스템을 실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병원계는 정부가 3번째 200억원에 가까운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 추진을 발표하자 컨소시엄을 둘러싼 경쟁이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울의 한 상급종합병원 교수는 "컨소시엄 형태의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데 이제 본격적인 눈치싸움이 시작될 것"이라며 "정밀의료시스템 사업권의 경우 고대의료원과 분당서울대가 사업권을 두고 경쟁을 벌이지 않았나. 컨소시엄 형태이기 때문에 각 병원들이 뭉쳐 사업권을 따내려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사업권을 따낼 경우 이를 수행하는 데에 따른 이득이 상당하다"며 "해당 분야를 선도하는 의료기관의 이미지와 함께 향후 개발에 따른 보급과 확산에 따른 추가적인 이득도 꿈 꿀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