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충남의대 조교수가 SCI 논문편수 미달로 재임용에서 탈락하는 사례가 발생하자 교수 업적평가 기준이 다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의대 교수의 연구논문은 최소한의 자격기준이라는 의견이 있는 반면 일각에서는 임상교수에게 과도한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SCI급 논문 촉구하는 의대들···"학자로서 당연한 의무"
충남의대는 최근 2008년도 전임교원 재임용 심사에서 논문편수가 미달된 임상 조교수 A씨를 탈락시켰다.
충남대 관계자는 “의대 조교수 A씨가 승진연한 내 연구실적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재임용에서 탈락했다”며 “심사기준이 계속해서 강화되고 있어 앞으로도 재임용이 더욱 어려워 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반면 연구업적이 탁월해 고속 승진한 사례도 있다.
고려의대 정지태 학장은 “우리 의대 역시 연구력 증진을 위해 승진심사 등에서 SCI급 논문 발표를 중요한 잣대로 보고 있다”면서 “SCI급 논문을 다수 발표한 전임강사가 조교수로 초고속 발탁된 예도 있었다”고 전했다.
이처럼 대다수 의과대학들은 SCI급 논문을 승진 자격 기준으로 설정하고 있다.
가톨릭의대의 경우 조교수에서 부교수로 승진하려면 SCI급 논문 1편을 포함, 국내외 저널에 총 3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해야 하며 부교수에서 정교수로 승진할 때에는 SCI급 2편을 포함, 총 5편의 논문발표 실적을 내야 한다.
서울의대 등도 이와 비슷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고대의대 등 일부 의대의 경우 이 자격조건을 더욱 상향조정하는 방안도 고려중이다.
논문편수가 개별 교수의 재임용, 승진에 결정적인 변수로 작용하는 사례가 잇따르자 의대교수들 내에서도 찬반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정지태 학장은 “의대교수란 그간의 노력으로 학계에서 자신의 의견을 낼 수 있다는 하나의 상징”이라며 “교수, 즉 학자라는 직함과 연구실적은 불가분의 관계”라고 못박았다.
수련기능 상대적 약화 우려···"탄력적 기준 만들어야"
하지만 SCI급 논문 등 연구실적 중심의 교수업적평가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임상 교수의 특성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진료와 연구, 교육 모두를 책임지고 있는 임상교수에게 SCI급 논문을 과도하게 강요할 경우 상대적으로 수련기능이 약화되는 등의 부작용이 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S의대 교수는 “교수이자 학자로서 논문이 중요한 지표라는 것은 부인하기 힘들다”며 “하지만 교수들에게 지나치게 논문을 강요할 경우 수련기능이 약해지는 등의 부작용은 막기 힘든 것이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지금도 논문에 중점적으로 신경 쓰는 교수들의 경우 교육이 상대적으로 소홀해 지는 경우가 많다”며 “최저 기준 등을 명시하기 보다는 탄력적인 기준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의대 교수 역시 “더 많은 진료를 하라고 압박하면서 SCI 논문까지 요구한다”면서 “여기에다 학생들까지 교수들을 평가하는 시대가 되다보니 너무 힘들다”고 털어놨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