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개원가

개원입지 서울·대전 '과밀' 울산·경기 '여유'

장종원
발행날짜: 2009-08-13 06:50:04

서울 의원 1곳당 1463명 불과…울산은 2288명

[메디칼타임즈=] 서울과 대전은 의원급 의료기관이 인구 대비 밀집된 지역으로 나타났다. 반면 울산이나 경기도의 경우에는 평균에 비해 밀집도가 낮은 지역이다.

12일 <메디칼타임즈>가 건강보험 상반기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의원 1곳당 담당 인구 수를 추계한 결과, 평균적으로 의원 1곳당 인구 1805명을 담당하고 있었다.

건강보험 적용인구대비 의원/의사당 인구 수
이중 울산은 건강보험 적용인구가 116만명이고 의원은 509곳으로, 의원 1곳당 국민 2288명을 담당해 의원 1곳당 담당 인구수가 가장 많았다.

개발붐이 여전한 경기도와 경상남도가 각각 2141명, 2169명으로 타 지역보다는 의원 밀집도가 덜한 편이었다.

반면 서울은 건강보험 적용인구가 1029만명, 의원이 7038곳으로 의원 1곳당 국민 1463명을 담당해 인구 수가 가장 적었다.

대전, 전북, 대구, 부산 등은 각각 의원 1곳당 1518명, 1596명, 1612명, 1628명으로 밀집도가 높았다.

의사 1명당 담당 의사 수를 비교해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는데 서울, 대전, 대구, 광주, 부산순으로 밀집도가 높은 반면 울산, 경기, 인천, 경북순으로 밀집도가 낮았다.

"개원입지 대도시 별로지만…"

이 같은 과밀, 과소 현상을 결국 지역에 따른 개원환경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울산을 제외하고는 대도시지역으로 개원이 몰리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생활환경과 교육문제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건강수입의 측면에서 볼때는 과밀도가 덜한 중소도시나 농어촌이 유리하다.

2006년 제주의대 이상이 교수의 연구에서도 중소도시와 농어촌에 위치한 동네의원의 월평균 건강보험진료비수입은 각각 2471만원, 2413만원으로 대도시는 2071만원에 비해 400만원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개원컨설팅 업계 관계자는 "외곽 신도시에서 하루 60~70명씩 안정적으로 환자보는 의원 원장도, 방법이 있다면 대도시로 입성하고 싶어한다"면서 "생활의 질이나 자녀 교육적인 측면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2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 대기업 2009.08.13 12:32:35

    부속병원에서 종검하고 진료해도 본인부담금 돌려받지..
    기업내 부속의원에서 일반진료 공짜...개업해도 재미없다.

  • ㄴㄹㅇ 2009.08.13 10:16:23

    의사들 보아라
    우리 약사들 리베이트로 최소 5% 먹는다.

    도매에서 약 받을 때 5% 않 주면 약 않 받아 버린다.

    도매에서 않 받고 제약회사에서 약 받아도 최소 5%는 주거든

    많게는 10%에서 30% 주는 것도 있다.

    이제 너희 의사들 끝나는 날도 얼마 않 남았다.

    우리는 또 매약도 있다.

    그리고 환자가 2달 처방 받아도 환자가 돈이 없다면서

    1달 치만 가져가면 건강보험으로 2달치 청구해서 먹을 수도 있다.

    물론 그 약도 절약해서 다른 환자에게 줄수 있으니 따따블 이익이다.

    또 너희 의사들이 아무리 정품약 처방해도

    우리가 모양 비슷한 카피약으로 환자에게 주면 된다.

    이런 약일수록 원가 500원 짜리 약을 원가 300원으로 줄수 있으니

    1알당 200원씩 우리가 더 먹을수 있다.

    그것만 해도 30일 치면 6,000원이고 60일치면 12,000이다.

    또 이런 약일수록 도매상에서 챙겨 주는게 더 많거든.

    절대 환자들은 알수가 없다.

    그럼 우리는 정품으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고

    정품 대신 더 가격이 싼 카피약 쓰니 그 차액 만큼 더 챙길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환자가 2달치 처방 받고 오면 너무나 좋다.

    그리고 너희 의사들이 100mg이나 80mg 짜리 처방해도

    우리가 50mg이나 40mg 으로 바꾸어 줘 버리면 된다.

    환자가 뭘 알겠어.

    그럼 우리는 또 처방전 나온 대로 보험 청구해서 돈 더 받을 수 있고

    환자들에게 100mg이나 80mg이라고 하면서 약값을 더 받을 수도 있다.

    의사들 너희들 이제 끝났다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