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제약·바이오
  • 국내사

日 의약품시장 동향·규제·약가 동향을 한번에

발행날짜: 2017-04-20 11:59:04

제2차 한-일 의약품 의료기기 민관 공동 심포지움 개최

일본 의약품 시장 정보와 약가체계, 약물 규제정보를 한번에 파악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와 일본제약협회(회장 고토 타다하루) 및 양국 의약품 규제당국, 양국 의료기기협회가 공동주최하는 ‘제2차 한-일 의약품 의료기기 민관 공동 심포지움’이 오는 5월 11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 402호(남)에서 개최된다.

양 협회는 양국 제약산업의 공동 발전과 의약품 규제 및 시장 정보 교류를 위해 한-일 공동세미나를 15년에 걸쳐 개최해 왔으며, 지난해 한국의 식약처, 일본의 후생성 및 PMDA(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가 공동주최자로 참여하면서 의약품에 의료기기 분야를 더한 민관 공동 심포지움으로 외연을 확대했다.

이번 심포지움에서는 △양국 의약품 규제의 최신 동향 △약물감시 시스템의 정부·민간 현황 △양국 바이오의약품 개발 동향 및 협력 △양국 약가 시스템의 최신 동향 및 향후 방향 등이 논의된다.

행사는 오전에는 의약품과 의료기기분야의 공동세션으로, 양국 정부에서 관련 규제 현황 및 흐름에 대해 리뷰하고 오후에는 분야별로 다른 장소에서 세션이 진행된다.

오후 의약품 분야의 정부 주도 세션에서는 △양국의 약물감시 체계를 주제로 한국의 이수정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평가과장, 일본의 유카 이이다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 선임 심사관이 정부 시스템 운영 현황에 대해 리뷰하고 오은영 한국다이이치산쿄 PV(약물감시)팀장, 요코 하토리 일본제약협회 PMS(시판후조사) 전문가위원회 의장이 업계의 PV(약물감시) 시스템 및 정부 정책 대응에 대해 발표한다. 이후에는 민관 간 패널 토의가 이어진다.

한편 민간 주도 세션에서는 양국의 바이오의약품과 약가체계 동향을 파악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한국의 생물의약품/바이오시밀러 동향(이재윤 LG화학 생명과학연구소 연구위원) △일본 및 국제 생물의약품/바이오시밀러 동향(히로토모 아카바네 일본제약협회 수석연구원) △한국의 약가체계 동향(박지혜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사무관) △일본의 약가체계 동향(히로아키 마미야 일 후생노동성 보건정책국 부심의관) 순으로 진행된다.

의료기기분야에서는 양국의 의료기기산업협회 관계자가 각국의 의료기기 품질관리시스템과 관련법령, 의료기기통합정보시스템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참석을 신청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홈페이지 -> 신청&서비스 -> 세미나/교육에서 할수 있으며 문의는 국제협력팀(jms@kpma.or.kr) / 02-6301-2156)으로 하면 된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마감은 4월 28까지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