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간학회 주도로 2017년부터 시작된 C형 간염의 국가검진 포함 여부가 마침내 오는 11월 최종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포함되기 위한 구성 요건인 비용 대비 효과성은 만족한 만큼 학회는 국내 유병률 조사를 통해 질병의 위중성과 사회적 영향 관계 등을 적극 부각시킨다는 방침이다.
3일 의학계에 따르면 C형 간염의 국가검진 포함 여부를 두고 보건복지부가 11월에 최종 결론을 도출할 것으로 관측된다.
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이 정상인의 상처난 피부나 점막을 통해 전염되는 일종의 전염병으로 70~80%에서 만성 간염으로 진행하고 이 가운데 30~40%는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돼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
예방 백신은 없지만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를 8~16주 정도 사용하면 완치가 가능해 무엇보다 검진을 통해 조기에 감염자를 선별, 치료하는 것이 확산 방지에 효과적이다.
C형 간염 국가검진 도입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2015년 11월 의원 내 집단 감염 사태로 촉발됐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소득은 없다.
간학회는 암 사망원인 2위이자 생산 활동 연령대 사망 원인 1위인 간암의 주요 원인이 C형 간염이라는 점에서 국가검진 포함을 주장했지만 두번의 시범사업 모두 유병률 항목에 발목을 잡힌 것.
국가건강검진에 포함되기 위해선 '유병률 5% 이상' 항목을 충족해야 하는데 2017년 시범사업에서의 유병률은 0.7%, 2020년 시범사업은 항체양성률 0.75%, 확진양성률 0.18%에 그쳤다.
간학회 관계자는 "보건복지부에서 C형 간염 국가검진 포함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11월 경에 최종 결론이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앞서 두번의 시범사업이 유병률 기준에 미달했지만 현재 시점과 다소 동떨어져 있다는 판단에 따라 학회에서 유병률에 자료 수집 및 자체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며 "9월이나 10월 쯤 결론이 나오는 대로 이를 복지부에 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학회가 2011~2015년 국내 외국인 근로자를 검진한 결과 C형간염 항체 양성률이 3~10%에 달했는데 국내 체류 외국인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하면 다소 다른 유병률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
간학회 관계자는 "학회 입장에선 그간 할 수 있는 시도를 다 했기 때문에 올해가 마지막이라고 본다"며 "어떻게든 제도화를 위해 한정된 기간 일몰성으로 국가검진사업에 포함하는 방안이나 B형 간염 검진을 C형 간염으로 한시적 조정, 대체하는 방안을 중재안으로 제시했지만 이에 대한 검토는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WHO의 2030년까지 C형 간염 정복 선언이나 미국 주요 협회, 학회의 보편적 검사 강조 기조를 보면 국내에서의 제도화에 대한 분위기는 무르익었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급격한 고령화로 정부가 예산 문제로 고심하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