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본격화한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의 응급실 이탈에 정부 의과대학 정원 증원 정책이 기름을 부었다. 의료취약지를 중심으로 이직·사직이 늘어났으며 응급실 의사들의 개원가 유입도 본격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은 30일, 메디칼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의료취약지를 중심으로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의 이직이 본격적으로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애초 응급의학과는 이직이 잦은 과다. 어느 병원에서든 하는 업무가 크게 다르지 않아 적응이 어렵지 않고 항상 수요가 있는 특성 덕분이다.
이 때문에 학기가 시작하는 매년 3~4월 200~300명의 응급실 의사가 이동하는데 올해 이직자 수는 그 2배가 넘는다는 것. 문제는 이렇게 늘어난 이직자가 의료취약지 응급실 의사라는 점이다.
이와 관련 이형민 회장은 "지금 어떤 문제가 생겼냐면 상대적으로 힘들고 어렵고 취약한 지역일수록 더 많이 인력을 뺏겼다"며 "평년보다 많은 이직이 이뤄지면서 지역의 불균형을 야기를 했고 이전까진 그나마 유지되고 응급실이 급속도로 무너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후의 보루로 버티고 있던 전공의들이 떠나면서 해당 지역의 최종 치료 역량이 떨어지면서 전체적으로 문제가 생기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충남과 강원도 지역이 그랬고 이제 부산·경남·전남 가릴 것이 없다. 이젠 그 여파가 수도권까지 가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당장은 업무가 과중한 의료취약지를 중심으로만 응급실 의사 이탈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해당 지역에서 치료받을 수 없는 환자가 결국 수도권으로 몰리고, 이로 인해 수도권 응급실 업무 역시 과중 돼 연쇄적으로 무너질 것이라는 진단이다. 코로나19 확산세와 추석 명절로 환자가 급증할 수밖에 없는 상황도 우려를 키운다.
이 회장은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는 기존에도 부족한 인력으로 무리하게 운영하는 형국이었다고 지적했다. 여기서 전공의까지 빠지면서 남은 의료진의 업무가 과중해 본인 역시 은퇴를 고민할 정도라는 설명이다.
이 회장은 "이제 쉰밖에 안 됐지만, 응급실을 그만둘까 고민 중이다. 예전엔 당직을 해도 5시간 정도면 회복했지만, 이젠 이틀은 지나야 한다"며 "그러다 보니 건강이 악화하거나 일을 지속하기 힘들 것이라는 불안감이 크다"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은퇴한 의사들을 데려오겠다는 대책을 내놨을 때 많이 웃었다. 은퇴한 분들이 응급실을 어떻게 버틸지 의문이다"라며 "이런 말도 안 되는 얘기가 나오는 것은 현장을 전혀 모르고 있다는 반증이다"라고 지적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의 개원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 당시부터 이 같은 움직임이 관측됐는데 의대 증원 사태로 가속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기존 10% 수준이었던 응급의학과 개원의가 최근 20% 수준으로 증가했다는 것.
다만 이 회장은 응급의학과 의사들이 개원을 원해 떠나는 것이 아니라 응급실에서 버틸 수 없어 개원가로 밀려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응급실에서의 의료진 피로는 의료사고와 직결되는 만큼, 환자 안전을 위해 현장을 떠난다는 생각도 깔린 모습이다.
이 회장은 이 같은 상황을 영화 '매트릭스'에 빗대 "빨간약을 먹는다"고 표현했다. 영화 주인공이 빨간약을 먹고 현실을 깨닫는 것처럼, 응급실 의사는 응급실을 떠난 뒤 응급의료의 현실을 깨닫는다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한 번 응급실을 떠난 의사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
그는 "응급실에서 일할 때는 그곳이 세상의 전부인 줄 알고 한다. 그러다 응급실이 아닌 곳에서 일하게 되면 빨간약을 먹는 것과 마찬가지다"라며 "밤에 일하는 것과 낮에 일하는 것이 이렇게 다르구나 하고 느끼면 다시는 밤에 일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응급실 일 자체가 정상적이지 않고 과하기 때문에 한 번 나간 사람이 다시 돌아오기란 정말 힘들다"며 "최고의 컨디션으로 일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이 시스템이지만 응급실은 그렇지 않다. 그러다 보니 내가 졸리면 환자들 다 어떻게 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더욱이 응급실 일은 졸리면 사람이 죽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경증 환자의 본인부담금을 90~100% 상향 등의 정부 대책과 관련해 방향은 틀리지 않았지만, 세부적인 내용에 상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더욱이 추석 명절이 머지않아, 당장 효과적인 대책이 필요한데 지금까지 나온 것들은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실패한 정책이라는 지적이다.
경증 환자 제한의 경우에도 불가피하게 대학병원 응급실을 방문할 수밖에 없고, 형편이 좋지 않은 환자들이 있어 구분이 필요하다는 것. 무작정 비용만 올려버리면 그에 대한 비난은 의료계로 향하기 마련이라는 우려다.
이와 관련 이 회장은 "정부 대책을 반대로 얘기하면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왜 대책이 없느냐면 응급의료가 지금까지 너무 많이 망가졌다"며 "경증이라도 한 병원에서 연속적으로 치료 받아야 하는 경우도 있고 대학병원에 어쩔 수 없이 가야 하는 환자도 있고 다른 병원을 가고 싶어도 갈 수 없어 오는 환자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세밀한 접근이 필요함에도 경증 환자 본인부담금을 한 번에 올린다면 응급실 200곳 이상이 망한다"며 "경증 환자를 막겠다면 국민을 설득해 동의를 얻고 비용이나 법으로 시스템적인 장벽을 만들어야 한다. 이는 정부가 할 일이지만 그 책임을 의료기관에 떠넘기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