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발병 위험 등으로 효용성 논란이 제기됐던 폐경 호르몬 요법.
폐경 초기 호르몬 요법을 통한 치료전략 이점은 그동안의 치료성과로 입증했다며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11일 김미란 대한폐경학회장(서울성모병원 산부인과)은 한국오가논이 개최한 행사에 참석해 폐경 호르몬 요법의 활용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여성이 월경이 불규칙해지는 폐경 이행기를 거쳐 1년 동안 월경이 완전히 중단되었을 때 폐경으로 진단된다.
폐경기 여성들은 일상에서 다양한 증상으로 불편을 느끼고 심한 고통을 겪기도 하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이 전문적인 상담과 치료를 받지 않고 있지 않다는 것이 김미란 회장의 설명이다.
실제로 국내 만 40~69세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한 폐경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10명 중 8~9명이 폐경 증상을 경험했지만, 한 가지 이상의 심한 폐경 증상을 겪는 여성 중 실제 병원 진료를 받는 이는 10명 중 3명에 불과했다.
김미란 회장은 "폐경기 여성의 건강관리는 단순히 증상을 완화하는 것을 넘어 여성의 후반부 삶의 질 전반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라며 "하지만 많은 여성들이 여전히 호르몬 치료에 대한 정보 부족과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필요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증상을 참거나 폐경을 자연스러운 일로 여기다가 최적의 치료시기를 놓치는 사례들이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가운데 임상현장에서 폐경 치료는 호르몬 치료를 최우선해 고려한다. '조직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 조절제(STEAR)' 리비알(티볼론)이 대표적인 호르몬 요법을 통해 초기, 중기, 후기에 걸쳐 경험하는 다양한 증상을 개선하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폐경 환자들이 병·의원 진료를 받는다 하더라도 주요 치료전략인 호르몬 요법을 둘러싼 부작용 우려로 치료를 주저한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논란 지점은 바로 WHI(Women's Health Initiative)에서 내놓은 연구 결과로 폐경 호르몬 요법을 받은 여성의 경우 연간 만 명 중 8명꼴로 유방암이 발병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호르몬 치료를 주저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걱정으로 호르몬 치료를 주저할 경우 오히려 비뇨생식기증후군, 골다공증 등 다양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적극적인 치료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김미란 회장은 "유방암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폐경 여성들이 호르몬 치료를 선택하지 않는 사례가 적지 않다"며 "의료진이 환자에게 암이 생기라고 치료제를 처방하지 않는다. 의료진을 믿고 적극적인 치료를 받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그는 "호르몬 치료에 대한 걱정으로 폐경 치료를 통한 건강 이점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며 "폐경학회 권고안으로 호르몬 치료는 폐경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시작돼야 한다. 특히 이른 폐경으로 진단된 여성의 경우 증상 유무에 관계없이 빠르게 시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김미란 회장은 폐경 여성들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골다공증 관리에 대한 임상현장 치료전략도 내놨다.
개인적인 의견이라는 전제로 데노수맙 성분 치료제 등 골다공증 치료제는 치료전략 상 마지막 '무기'로 남겨 둔다는 설명이다.
김미란 회장은 "폐경 여성들에게 호르몬 요법은 골밀도를 예방하는데 효과를 지녔다"며 "데노수맙 등 골다공증 치료제는 폐경 증상이 지나간 다음에 쓰려고 노력한다. 치료전략 상 데노수맙까지 쓰게 된다면 이후 약을 끊기 어렵기 때문에 순차치료 형태로 치료전략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김 회장은 "증상을 참거나 폐경을 자연스러운 일로 여기다가 최적의 치료시기를 놓치는 사례들을 보며 안타까움을 느꼈다. 폐경 치료의 가장 이상적인 시기는 폐경이 임박해 갱년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할 때나 폐경 초기"라며 "이 시기에 치료를 시작하면 정기 검진을 통해 치료의 지속 여부를 검토할 수 있기에, 여성들이 폐경 전부터 신체 변화를 인지하고 관련 정보를 충분히 습득하여 질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