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대학병원

"전공의 수련시간 단축-환자안전, 직접 관계 있다"

발행날짜: 2017-03-13 19:04:23

대전협, 최근 열린 환자포럼 정면 반박 "제도 회의 전에 안착 고민해야"

대한전공의협의회(회장 기동훈, 이하 대전협)는 전공의 수련시간 단축이 환자안전과 직접적 관계가 있다고 관련 근거를 내놨다.

이는 최근 열린 한 포럼에서 수련시간 단축이 환자안전과 관계 없다는 의견에 대한 반박이다.

대전협이 제시한 근거는 레지던트의 환자 안전, 삶의 질, 교육 시간 제한의 효과를 밝힌 연구결과(The Effect of Restricting Residents' Duty Hours on Patient Safety, Resident Well-Being, and Resident Education: An Updated Systematic Review)다.

대전협에 따르면 논문에서 리뷰한 27건의 연구 중 10건이 사망률, 질병률을 근거로 환자 안전에 대해 평가한 연구다. 이 중 1건의 연구에서 수련시간 단축이 환자안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를 내놨고, 4건은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 나머지 5건의 연구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단 한건의 논문을 바탕으로 전공의법이 환자안전에 위험을 미칠 수도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는 게 대전협의 주장.

김현지 평가·수련이사는 "10건의 연구 중 전공의 수련시간 제한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한 연구의 수가 더 많았다"며 "각 연구는 단일 병원의 수련시간 제한 정책에 대한 결과를 측정한 것이며 병원마다 수련 환경 및 규칙이 상이해 다른 병원에 적용 가능성은 의문의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물며 진료 환경이 완연히 다른 외국의 사례를 국내의 사례와 직접 비교하기는 더욱 어렵다"고 덧붙였다.

대전협은 대다수 논문에서 환자 안전의 지표로 삼은 환자의 사망률, 질병률에는 다양한 교란인자가 있다는 것도 지적했다.

각 연구에서 나이, 성별 및 질병의 심각성과 같이 쉽게 조정할 수 있는 환자 요인은 반영됐지만 전공의 수련 시간 단축으로 인한 인력 공백이 메워졌는지, 지도전문의의 관리 감독이 소홀하지 않았는지, 근무 교대 전 인계가 충분히 이뤄졌는지 등의 제도적 변수는 측정되거나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대전협은 "이미 수많은 연구에서 전공의의 긴 근무 시간, 과도한 업무량이 환자 안전에 심각한 위해를 끼친다는 것을 입증했다"며 "전공의 수련시간 제한이 예상한 것처럼 환자 안전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수련시간 제한이 제대로 지켜진 것은 맞는지, 수련의 질 향상 없이 단순히 수련시간만 제한해 진료 인력의 공백이나 진료 단절을 발생시킨 것은 아닌지를 우선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공의법의 수련시간과 관련된 조항은 올해 12월 23일부터 본격 적용된다. 법이 발효되기까지 1년이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전공의 수련 시간 단축으로 진료 인력의 공백이 발생하는 것에 대한 경종을 울리는 중요한 의견이 될 수 있다는 게 대전협의 입장.

김 이사는 "진료 인력 공백과 진료 단절을 막기 위한 병원 측의 체계적인 대비가 필요하다"며 "각 병원이 전공의 업무 중 수련과 관련 없는 불필요한 업무를 줄이고, 보다 적극적으로 입원전담전문의를 채용하며, 충분한 인계 시간을 제공해 전공의법의 성공적인 안착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