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S대학병원은 내과, 외과를 넘어 정형외과에 입원전담전문의를 채용했다. 인원이 부족해 팀을 구성하지는 못했지만 일단 입원전담의로 근무중이다.
#서울지역 A중소병원은 응급의학과 전문의를 입원전담의로 채용에 나서고 있다. 내년이면 복지부가 제시한 수가 가산 기준인 5명팀을 구축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들은 장기적으로 입원전담전문의가 되고자 하기보다는 일시적으로 취업 혹은 고소득을 목적으로 근무한다는 점이 공통적이다.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함
30일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가 입원전담전문의 활성화 방안으로 수가 가산 및 전공의 정원 확대 등 다양한 제도적 지원을 제시하면서 긍정적인 효과 그 이면에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최근 각 병원마다 제도적 지원을 노리고 입원전담전문의 채용에 적극 나서면서 그 빈틈을 비집고, 다양한 형태의 입원전담의가 나타나고 있는 것.
위의 S대학병원은 교수 정원이 부족하다보니 정형외과 펠로우를 마치고 일단 입원전담의로 머무르는 경우다.
S대학병원 한 의료진은 "입원전담의로 소속이 돼 있지만 솔직히 입원전담의 역할인 병동환자 케어 역할을 하지 않는다"며 "결국 교수자리가 날 때까지 머무르는 과정으로 있는 게 아니겠느냐"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이는 제대로된 입원전담전문의제도가 아니라고 본다"며 "정형외과 전문의가 병동을 얼마나 케어하겠느냐. 그 실체를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인기과인 정형외과 교수가 되려면 펠로우 2년을 하고도 오랜 시간이 필요한 상황. 이 과정에서 정형외과 의국은 숙련된 의료진을 확보하고, 해당 의료진은 미래를 보장받을 수 있다보니 필요충분조건이 성립한 셈이다.
A중소병원은 내과 전문의를 구할 수 없다보니 응급의학과 전문의로 대체해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를 운영하는 경우다.
해당 병원 관계자는 "입원전담전문의로 채용했지만 사실상 응급실에 머물게 될 수 있다"고 봤다. 응급실에서 병동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역할을 하겠지만 이를 당초 입원전담전문의 제도의 취지와 부합한지는 물음표라는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사실 중소병원에서 내과 전문의로 입원전담의를 구하기란 하늘의 별따기로 쉽지 않다보니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문제는 이들이 과연 병동 환자를 얼마나 케어할 것인가 하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입원전담전문의 입원환자 진료서비스 개선 평가 연구 책임을 맡은 장성인 교수(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는 "주객이 전도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입원전담의제도를 운영하는 과에 전공의 정원을 추가로 늘려주는 것을 염두에 두고 전문의를 채용, 전공의 정원을 늘리는 효과를 보는 곳도 있다"며 "제도 취지와 달리 운영되고 있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위의 S대학병원처럼 정형외과 전문의를 입원전담의로 채용한 경우 수술장에 안들어가고 병동만 지키는지도 사실 의문"이라며 "취지와 달리 운영되는 측면이 있어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