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내시경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해 발견율과 치료율을 높이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지만 이점과 한계가 분명해 아직까지 혜택을 장담할 수 없다는 주요 연구가 나와 주목된다.
메타분석과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이 연이어 나온 것. 결론적으로 일부 폴립 제거율을 크게 높였지만 대장암과 관련한 주요 지표 개선에는 실패하는 아쉬움을 남겼다.
현지시각으로 29일 미국내과학회지(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는 대장내시경 인공지능에 대한 주요 연구 두편이 게재됐다.
일단 이번호에는 대장내시경 인공지능의 혜택에 대한 체계적 메타분석 결과가 실렸다(doi.org/10.7326/M22-3678).
표준 내시경 검사와 인공지능 기반 내시경 검사간에 이점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것. 이 연구에는 1만 82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21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이 포함됐다.
분석 결과 인공지능을 결합한 내시경 검사는 표준 내시경 검사에 비해 선종 탐지율(ADR)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인공지능을 접못한 경우 선종을 발견할 확률이 44%로 표준 내시경의 35.9%에 비해 높아진 것. 통계적으로 1.24배 선종 탐지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그만큼 인공지능 내시경을 활용할 경우 표준 내시경 그룹보다 더 많은 비종양성 폴립이 제거됐다. 인공지능 내시경을 받은 환자는 검사당 0.52개 폴립이 제거됐고 표준 그룹은 0.34개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추적 관찰 결과 암 발생률과 암 관련 사망률, 검사시간 등에서는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비종양성 폴립을 제거율이 크게 높아졌지만 주요 지표를 개선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의미가 된다.
교신저자인 이탈리아 후마니타스 의과대학 마르코(Marco Spadaccini) 교수는 "대장내시경에 인공지능을 결합할 경우 선종 검출이 증가하지만 진행성 선종이 아닌 비종양성 용종의 불필요한 제거율이 높아졌다"며 "실제 환자에게 혜택이 되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같은 호 미국내과학회지에는 대장내시경 인공지능이 과연 진행성 신생물의 발견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도 게재됐다(doi.org/10.7326/M22-2619).
이 연구는 분변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인 3213명의 환자를 인공지능 내시경과 표준 내시경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해 실제 진행성 신생물 즉 암 발견에 이점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진행성 대장암 발견율을 분석하자 인공지능 내시경 그룹은 34.8%로 표준 내시경을 받은 그룹의 34.6%과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발견된 신생물 또한 마찬가지 결과를 보였다. 인공지능 내시경 그룹이 0.54개로 표준 내시경 그룹 0.52개와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
선종 발견율 또한 인공지능 내시경을 받은 환자는 64.2%, 표준 내시경을 받은 환자는 62%로 역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진은 "일부 비폴립성 병변을 발견할 확률이 높기는 했지만 진행성 대장암이나 신생물, 선종 발견율의 경우 인공지능을 접목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고 결론내렸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