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학술
  • 학술대회

국내 연구진, 암 전이 과정 밝혀내

발행날짜: 2010-09-14 10:36:46

KIST 조광현 교수팀, 표적항암제 개발 발판 마련

국내 연구진이 암이 전이되는 조절과정과 핵심회로를 규명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조광현 교수
K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조광현 교수팀은 최근 '가상 암세포' 실험을 통해 암 전이를 유발하는 핵심 분자회로를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 교수는 이카드헤린의 발현량에 대한 수학모형을 개발하고 대규모 컴퓨터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이들의 결합 피드백회로의 상호작용으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생명현상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이카드헤린이란 세포간 결합을 조절하는 단백질. 흔히 종양세포의 전이단계에서 일어나는 상피세포의 변화과정에서 급격히 양이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학계에서는 이카드헤린의 발현량에 대한 메커니즘을 분석하는데 노력해왔지만 이 과정자체가 너무나 복잡하게 얽혀 있어 실험으로 이를 파악하는데 난항을 겪어왔다.

하지만 조 교수팀은 어크와 윈트가 포함된 다양한 신호전달경로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해 이에 대한 과정을 설명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또한, 어크에 의한 알킵 인산화와 스네일에 의한 알킵 전사억제 과정으로 구성된 결합 양성피드백 회로가 임계점 이상의 자극세기에서만 이카드헤린이 급격하게 발현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외부 노이즈의 동작을 유발한다는 것도 규명했다.

아울러 알킵이 스네일과 슬러그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이카드헤린의 발현이 증가되고 이 때문에 전이과정이 억제될 수 있음을 보였다.

지금까지 전이를 일으키는 종양세포에 알킵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는 많은 임상적 보고가 있었지만, 그 근본적인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았었다.

KIST는 "이번 연구결과는 향후 이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 개발 등 IT를 이용한 생명과학 응용연구의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컴퓨터시뮬레이션 결과임에도 이례적으로 그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권위있는 암 전문 학술지인 'Cancer Research'지에 게재됐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