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대다수가 필수의료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데 동의했다. 다만, 필수의료의 개념과 범위 등이 명확히 정리되지 않아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원장 신영석)은 보건복지 이슈앤포커스 제459호 '필수의료에 대한 국민 인식 및 정책 추진을 위한 시사점'을 발간하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책임자는 보건의료정책연구실 배재용 연구위원이다.

전국 만 19세 이상 74세 이하 성인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필수의료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 94.9%가 '필수의료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에 동의했다.
하지만 필수의료 개념과 범위에 대해서는 국민 인식이 완전히 수렴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응답자 55.6%는 현재 필수의료 정책의 기조와 같이 정책적 우선순위에 따라 필수의료의 범위가 정해져야 한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으로 '생명과 직결되는 의료 영역'이 25.0%, '24시간 365일 대응이 필요한 의료 영역'이 18.2%를 차지했다.
반면, 응답자 41.3%는 필수의료를 '건강보험에서 보장하는 의료서비스 전체(또는 비급여 서비스 외 전부)'로 인식했다. 이는 건강보험 보장 범위를 필수의료로 보는 포괄적인 시각이다.
국민들이 국가가 책임지고 제공해야 할 필수의료 분야로 가장 높게 꼽은 영역은 '응급·외상·심뇌혈관 등(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중증 의료)'으로, 이는 현재의 필수의료 정책 우선순위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결과다.
이와 더불어, 다수의 응답자가 현재의 필수의료 정책의 또 다른 우선순위인 '분만·산모·신생아 의료'와 '소아 의료' 역시 국가가 책임져야 할 분야로 선택했다.

또한 다수의 응답자들이 '재활의료, 장애인 건강관리, 정신건강',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 관리' 등의 영역을 필수의료 분야로 선택했다.
배재용 연구위원은 "필수의료라는 개념과 용어는 최근 들어 주요한 정책 용어 및 아젠다로 부상했으나 아직까지도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이러한 경우는 이해당사자들 간의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필수의료는 이론적·학술적 정의가 부족하고 임상적으로도 합의된 개념을 찾기 어려우며, 규범적·정책적 개념에 가까워 사회적 합의를 통한 개념 정의가 필수적"이라며 "필수의료 확충·강화 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해 의료 공급자 및 일반 국민을 포함한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충분한 소통을 통해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