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닐프로판올아민(PPA) 성분 함유 감기약 파동이 결국 고질적인 의약간의 상호비방전을 다시 촉발시켰다.
의약계는 성명전을 통해 인신공격성 상호비방을 서슴지 않는 등 눈살을 찌뿌리게 하고 있다.
칼을 먼저 끄집어 낸 쪽은 의사협회. 대한의사협회는 의약품 전면 재분류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통해 약사회를 압박하고 나섰다.
의협은 선진국들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나 우리나라에서만 사용되는 의약품이 존재하는지 철저히 확인할 것과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될 우려가 있는 의약품의 경우 전문의약품으로 전환하기 위해 의약품을 전면 재분류를 주장했다.
의협은 또 식약청에서 의사인력이 부족함을 지적하며 약사회를 자극했다. 의협은 "미국 FDA에는 의사가 약사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우리나라 식약청은 의사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식품과 의약품 관리가 근본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사태의 추이를 신중히 지켜보던 약사회는 9일 공식성명을 통해 본격적으로 의협의 주장을 반박하고 나섰다. 약사회는 특히 PPA 성분함유 전문약을 의사들도 처방왔다며 의사들의 책임도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대한약사회는 의사협회의 전문약 재분류 주장에 대해 “2001년부터 PPA 함유 의약품 처방건수가 연간 2600만건에 이른다”며 “PPA 사태는 분류의 문제가 아닌 관리의 문제이며 전문직과 국민들의 ‘안전불감증’을 경고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 “이번 사태를 두고 식약청과 중앙약심에 약사가 많다는 문제를 대두시킨 일부의 편견과 억지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며 "행정부에 의사가 취업하려는 것을 막는 곳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약사회 역시 성명을 내고 "의사들은 투약 금지 발표가 나간 이후에도 일부 병·의원에서는 PPA성분이 함유된 처방전을 발행했다”고 주장하고 잘못된 처방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관련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한 발 앞선 주장까지 들고 나왔다.
PPA 사태를 통해 전문약 확대와 의사의 영향력 확대를 노리는 의협과 이를 방관할 수 없다는 약사회의 대응이 맞물려져 국민건강의 본질을 외면한 영역싸움으로 변질되는 형국이다.
이와 관련, 시민단체 관계자는 ""PPA 사태와 관련 의약계가 싸움을 벌이는 것은 시민과 소비자들이 보기에 어처구니가 없다"면서 "의약계 모두 PPA 함유 의약품을 처방하고 공급한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PPA 사태의 본질은 의약품 안정성을 어떻게 확보하느냐의 문제인데 사태가 본질을 넘어 확대되고 있다”며 “의약계가 전문가인 만큼 좀 더 자숙하고 이번 사태의 정책적인 대안을 고민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