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병·의원
  • 개원가

시도의사회 설문결과 투쟁 지지 60~70%…민심 맞나

발행날짜: 2012-11-21 06:40:15

응답률 낮아 실제 여론 반영 의문, "실제 얼마나 동참할지 미지수"

일선 개원가에서 주 40시간 근무와 토요일 휴진 '준법투쟁'에 미지근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시도의사회의 대정부 투쟁에 관한 자체 설문조사에서는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16개 시도의사회 중 회원 대상 자체 설문조사를 한 곳은 서울,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경북, 전남시의사회 등이다.

이중 서울시의사회와 대구시의사회, 경북의사회는 의사 대표자들이 의협에 대정부 투쟁과 관련한 전권을 위임한 직후 설문조사를 중단했다.

그러나 의협의 대정부 투쟁 로드맵에 찬성/반대하냐는 설문(문자, 홈페이지, 전화)을 마친 인천시의사회에 따르면 응답자 331명 중 222명(67%)가 찬성했고, 나머지 109명(33%)은 반대했다.

19일 30여곳의 일선 개원가를 둘러본 결과 준법 투쟁에 참여하는 의원은 단 2곳에 불과할 정도로 참여 열기는 냉담하게 나타나고 있다.
문자 설문을 진행한 광주시의사회도 응답자 343명 중 찬성과 반대 비율이 6:4 정도로 인천시의사회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한편 900여명이 참여한 전남의사회 설문에서는 찬성이 약 70%, 반대가 30% 차지했다.

'반대한다'는 30%의 응답자는 '투쟁에는 찬성하지만 방법론에 문제가 있다'는 대답이 25%였고, 나머지 5%는 아예 투쟁 자체를 반대하는 것으로 나왔다.

117명이 참여한 제주도의사회의 설문에서는 준법 투쟁에 전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응답자가 30%였고 상황에 따라 결정하겠다는 응답은 50%에 달했다.

경기도의사회는 현재 시군별로 설문조사를 취합하고 있으며 결과는 이번 주 중으로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실은 이와 상반된 분위기다.

메디칼타임즈가 의협의 대정부 투쟁 첫날인 19일 일부 개원의들을 대상으로 '주40시간 근무-토요 휴무' 여부를 조사한 결과 변화가 거의 없었다.

한편 설문 결과가 실제 투쟁 참여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설문 결과가 정확한 민심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모 시도의사회 회장은 "주변에 투쟁에 참여하는 의원은 20~30%에 불과하지만 설문 결과로는 투쟁 지지 비율이 60~70%로 나온다"면서 "이는 적극적인 투쟁 의지를 가진 회원만 응답할 뿐이지 실제 회원들은 관심도 없다는 반증"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일부에게서만 설문 응답이 들어왔기 때문에 설문 결과와 실제 민심은 온도차가 있다"면서 "준법 투쟁에 이어 파업과 같이 회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정책을 시행할 때에는 반드시 공신력 있는 기관을 통해 설문조사를 거쳐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다른 시도의사회 관계자는 "설문 기간이 4일에 불과할 정도로 짧은 데다 응답자는 전체의 30%에도 못미쳤다"면서 "이를 민심의 근거로 보기에는 부족한 면이 많다"고 밝혔다.

설문을 진행하다 중단한 모 시도의사회 관계자도 "참여율이 워낙 낮아 설문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면서 "아직도 일선 회원 중에는 대정부 투쟁의 목표나 취지를 모르는 사람이 많아 얼마나 동참해줄지 미지수"라고 우려했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