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첫 급성 뇌졸중 인증의 505명이 배출됐다. 1년 365일 24시간 진료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확보한다는 취지로 시작된 만큼 인증의의 지역 편중은 풀어야할 숙제로 남았다.
2일 대한뇌졸중학회는 서울 드래곤시티에서 진행한 국제학술대회(International Conference STROKE UPDATE, ICSU 2024)에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심사 결과를 바탕으로 검증된 급성 뇌졸중 인증의를 배출했다고 밝혔다.
급성 뇌졸중 인증의는 급성기 뇌졸중 진료에 전문적인 자격과 능력을 갖춘 신경과 의사를 인증함으로써 필수중증응급질환인 뇌졸중을 1년 365일 24시간 진료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향후 지속가능한 전문 인력 운용체계 확립하고자 대한신경과학회와 대한뇌졸중학회에서 인증하는 제도다.
올해 처음 도입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심사는 2024년 9월 2일부터 약 1개월 간 신청과 2차 심사과정을 거쳤으며, 505명의 신경과 전문의가 급성 뇌졸중 인증의로 인증 받았다.
대한신경과학회 정책이사 고상배 교수(서울의대 신경과)는 "급성 뇌졸중 인증의 자격 검토 과정에서 뇌졸중 전공 여부, 급성 뇌졸중 환자의 진료 경험, 뇌졸중학회 혹은 신경과학회에서의 교육과 활동 등을 포함해 뇌졸중과 관련된 진료, 연구, 교육에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람들이 인증의로 인증을 받았다"며 "급성 뇌졸중 인증의는 독립적으로 환자를 보고 초급성기 뇌졸중 치료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신경과 전문의"라고 강조했다.
이어 "처음으로 진행하는 급성 뇌졸중 인증의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공유하고 향후 공정하고 지속적인 인정의 심사 과정이 지속될 수 있도록 여러 보완 방안을 구축하겠다"고 의견을 밝혔다.
대한뇌졸중학회 정책이사 이경복 교수(순천향 의대 신경과)는 "서울 이외 지역응급센터의 30% 이상에서 급성기 치료가 안돼 재이송을 하기 때문에 골든타임을 놓치게 된다"며 "따라서 지역응급센터 중 취약지역을 커버할 수 있고 성장 가능성이 있는 곳을 선별해 인력지원 등을 통해 거점 뇌졸중센터로 성장시켜 전국 뇌졸중센터 숫자를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119의 급성 뇌졸중 환자 이송지침을 지역응급센터에서 뇌졸중센터로 변경해야 하고, 24시간 급성 뇌졸중 진료가 불가능한 것은 제대로 치료할 수 있는 의료진이 없기 때문으로, 현재 급성 뇌졸중 인증의의 52.3%이 서울, 경기 지역의 병원에 분포하는 편중 현상은 풀어야 할 숙제라는 것이 그의 판단.
이 교수는 "인증의가 서울은 161명, 경기는 103명에 달하지만 강원 지역은 14명, 광주/전남 지역은 37명으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숫자도 지역별 불균형이 아직 존재한다"며 "따라서 각 취약 지역의 뇌졸중 센터 확보와 함께 전문 인력의 확보가 동시에 진행돼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세션에 참여한 김영서 교수(한양의대 신경과)는 "뇌졸중은 대표적 필수중증응급질환으로 빠른 시간안에 진단과 치료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뇌졸중 의심 환자를 진료할 때 신경과 의사의 업무부담이 높은 편"이라며 "뇌졸중을 전공하는 의사가 점차 줄고, 인력난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상돼 뇌졸중 진료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한뇌졸중학회 김경문 이사장(성균관의대 신경과)은 "뇌졸중은 적정 시간내에 적절한 치료를 받느냐에 따라 환자의 예후가 급격히 달라지는 필수중증응급질환"이라며 " 학회는 지속적인 급성 뇌졸중인증의 확보를 진행해 한국의 뇌졸중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