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의료기기·AI
  • 진단

도시바, 중소병원 최적의 진단환경 구축 제안

정희석
발행날짜: 2016-10-20 20:37:51

CT·MR·초음파진단기 등 미들레인지급 사양에 성능은 하이엔드급

1.5T MR ‘Vantage Elan’(밴티지 엘란)
도시바 메디칼시스템즈 코리아(대표이사 주창언)가 20일 코엑스에서 개막한 ‘국제병원의료산업박람회’(K-Hospital Fair 2016)에서 미들레인지급 사양으로 하이엔드급 성능을 구현한 ▲CT ▲MR ▲X-ray ▲초음파진단기를 선보였다.

이들 장비들은 하이엔드급 성능에 용도·공간·전력 등 효율성을 높여 중소병원 최적의 진단환경을 제공한다.

K-Hospital Fair 2016 도시바 부스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첫 번째 장비는 콤팩트한 디자인을 자랑하는 1.5T MR ‘Vantage Elan’(밴티지 엘란).

3T급 성능을 자랑하는 Vantage Elan은 MR에 있어 핵심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마그넷 코일이 강화돼 뛰어난 자장 균일도를 확보함으로써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시바 초음파진단기 'Aplio 400'
뿐만 아니라 도시바 특허 정음기술인 ‘Pianissimo’를 적용해 소음과 진동도 최소화했다.

특히 설치면적은 23㎡면 충분해 중소병원의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Angio·R/F·DR’ 기능 세 가지가 모두 가능한 다목적 장비 ‘Ultimax-i RITE Edition’(울티맥스 아이 라이트 에디션)도 관람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X-ray 촬영부터 위장조영·혈관조영검사까지 한 장비로 가능한 Ultimax-i RITE Edition은 기존 장비(Ultimax-i)에서 RITE Edition으로 업그레이드되고 16bits FPD를 탑재해 영상 정확도를 높였다.

또 F-Rec·Collimation과 같은 선량 감소 기술을 적용해 환자 안전성 또한 향상됐다.

도시바는 부스에 C-arm과 테이블을 움직일 수 있는 컨트롤러를 설치해 관람객들이 장비를 간접적으로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더불어 부스 관람객들은 최근 초음파진단기시장 점유율이 급상승한 도시바 하이엔드 초음파진단기 ‘Aplio Platinum Series’(어플리오 플래티넘 시리즈)와 미드엔드 초음파진단기 ‘Xario Platinum Series’(엑사리오 플래티넘 시리즈) 각각의 장점과 특징을 한 자리에서 비교할 수 있다.

특히 Xario는 최근 플래티넘 시리즈로 업그레이드되면서 도시바 초음파 핵심 기술 중 하나인 ‘SMI’(저속 혈류 내 미세혈관을 고해상도로 볼 수 있는 도플러 기술)이 가능해졌다.

이는 기존 하이엔드 초음파진단기 Aplio에서만 가능했던 것으로 사이즈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장비 성능을 높여 경제성을 한층 강화했다.

이밖에 도시바는 K-Hospital Fair 2016에서 미들레인지급 CT인 ‘Aquilion Lightning’(애퀼리언 라이트닝)을 처음 공개했다.

애퀼리언 라이트닝은 최고 사양 CT인 Aquilion ONE ViSION Edition(애퀼리언 원 비젼 에디션)에 사용되는 ‘PUREViSION Detector’(퓨어비젼 디텍터)를 탑재해 방사선 검출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고해상도 영상을 구현한다.
댓글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더보기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