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제약·바이오
  • 국내사

제약사 R&D 비용은 실적 방어용? 매출 따라 고무줄

발행날짜: 2018-05-05 06:00:50

한미약품 순이익 감소에도 투자 베팅…유한·종근당은 '허리띠'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매출액 기준 10대 제약사의 1분기 실적에서 연구개발비 지출 규모 변화가 감지된다.

실적 악화 부담을 덜기 위해 연구개발비 지출을 줄인 곳이 있는 반면, 당기순이익 감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매출액 대비 1/5 가까운 금액을 R&D에 투자한 제약사도 나타났다.

4일 메디칼타임즈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각 제약사 IR 자료를 분석한 결과 매출액(연결) 기준 10대 제약사의 연구개발비 지출 변화가 관찰됐다.

먼저 유한양행은 2018년 1분기 매출액 3362억원, 영업이익 257억원, 당기순이익 445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8%, -7.4%, 9.9%의 증감율을 나타냈다.

유한양행의 부진은 영업이익 감소와 원료의약품 수출 감소에서 찾을 수 있다.

영업이익은 2017년 1분기 355억원에서 올해 1분기 253억원으로 28.7% 감소, 영업이익률마저 10.1% 대에서 7.5% 대로 주저 앉았다.

원료의약품이 다수를 차지하는 의약품 수출도 부진했다. 수출은 400억원으로 전년 동기 742억원에서 46.1% 감소했다.

다만 처방약(ETC) 매출은 1분기 2388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9.3% 증가해 매출 증대를 견인했다. 신규 도입품목인 젠보야(HIV 치료제)가 104억 7800만원(714.8% YoY), 도입 품목 자디앙(당뇨병 치료제)이 50억원(95.4% YoY), 자체 개발 개량신약 로수바미브가 66억원(38.9% YoY)을 기록했다.

매출액, 영업이익 감소는 R&D 비용 축소가 상쇄했다. 1분기 R&D 비용은 22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3억원에서 6.1% 감소했다.

한편 GC녹십자는 연구개발비 지출 확대에도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

1분기 매출액은 2941억원, 영업이익 145억원, 당기순이익 18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8%, 5.7%, 167.4% 증가했다.

양호한 성적표는 전 사업부문이 고른 호조에 힘입었다.

부문별로 보면 주력인 혈액제제, 백신 사업의 매출 규모가 각각 5.6%, 11.2% 증가했고, 전문의약품 부문의 실적은 3%, 소비자 헬스케어 영역은 9.1%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주력 사업 중심의 해외 매출 규모는 14% 증가했다.

이와 같이 외형이 성장하는 동안 GC녹십자는 연구개발비용 지출을 전년 동기보다 17.9% 확대했다.

한미약품은 당기순이익 감소에도 R&D 투자 비용을 아끼지 않았다.

한미약품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2457억원, 영업이익 263억원, 당기순이익 11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2%, -16.3%, -54.4% 증감율을 나타냈다.

R&D 비용 증가 및 작년 기술료 수익으로 인한 기고효과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16.2% 감소한 263억을, 순이익은 54.5% 감소한 112억원을 각각 달성했다.

1분기 한미약품의 R&D 비용은 4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9% 증가했다. 이는 매출액 대비 19.1%의 규모다.

종근당은 1분기 매출액 2184억원, 영업이익 192억원, 당기순이익 30억원을 발표했다. 전기 대비 매출액은 10.4%, 영업이익은 9.8%, 당기순이익은 79.1% 감소한 수치다.

당기순이익은 하락의 원인은 세무조사에 따른 법인세 추가 납부 이슈가 작용했다.

매출 부진은 R&D 비용으로 이어졌다.

종근당은 2017년 989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집행 지난 2016년 대비 약 3% 적게 집행했다. 올해 1분기 연구개발비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예측된다.

한편 일동제약은 매출액, 영업이익 성장에 힘입어 R&D 투자액을 대폭 늘렸다.

일동제약의 1분기 매출액은 1189억원, 영업익 65억원, 순이익 6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5%, 110.6%, 145.3% 늘어난 수치다.

일반의약품 분야에서 비타민제인 아로나민과 엑세라민, 전문의약품 분야에서 신제품인 대상포진치료제 팜비어를 비롯한 기타 품목들의 고른 성장이 매출을 견인했다.

일동제약의 1분기 연구개발비 지출액은 137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80% 가량 증가했다.
댓글 0
새로고침
  • 최신순
  • 추천순
댓글운영규칙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