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메타가 만난 사람들

#

인터뷰
"SCI급 의학 논문만 500편…그렇지만 의사는 아닙니다"

주요 학회에서 그의 이름이 빠지지 않는다. 의학 분야 SCI급 논문만 500여편. 의사는 아니지만 환자의 예후 개선은 물론 일반인의 인식 개선에도 앞장서고 있다.매년 40~50편이 넘는 의학 논문을 쏟아내며 지난 2022년 제18회 Young Investigator Award(한독학술상) 수상자로 이름을 올린 것도 의학계 내 그의 활동성을 잘 설명하는 징표.대한비만학회 팩트시트도 10년 전 태동부터 그의 손을 거쳤다. 이외에도 여러 학회의 팩트시트 작성을 주도하며 협업하는 학회만 지질동맥경화학회, 류마티스학회, 당뇨병학회 등 5개에 달한다.주요 학회 발표장마다 얼굴 도장을 찍으면서 그에 대한 관심도 집중되고 있다. 이름하여 '숫자로 진료하는 학자' 한경도 대한비만학회 빅데이터위원회 이사(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를 만나 의학통계학자의 역할과 활동에 대해 물었다.■매년 40~50편 의학 논문 집필…숫자의 힘으로 변화 추동환자의 예후를 바꾸고, 정책 보고서를 움직이며, 사람들의 인식을 바꾼다. 그 공통분모는 근거다.데이터 더미에서 의미있는 데이터를 산출해내는 것은 지난한 작업. 당뇨·비만·지질·류마티스 등 굵직한 학회의 주요 데이터 발표마다 의학통계학자 한경도 교수의 이름이 거론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한 교수는 본디 통계학도였다. 가톨릭의대에서 의학통계 석·박사를 거치며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구가 막 움트던 시기에 발을 들였고, 그 선택이 운명을 바꿨다.한 교수는 "의사는 아니지만 전공 자체가 의학통계"라며 "의대에서 통계를 배운 까닭에 의료계와의 협업은 외도가 아니라 제 본업"이라고 강조했다.의학계에선 통계 전문가가 부차적 조력자 정도로 여겨지던 시절이 있었지만, 지금은 다르다. 누적 500편이 넘는 SCI 논문, 여러 학회들이 발간하는 팩트시트로 드러난 한국인의 질병 현황은 진료 지침의 근거가 되기도 하고, 정책 변화의 동력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더 이상 통계는 통계로 그치지 않는다.한 교수는 "생활습관 교정 연구를 통해 흡연·음주·운동 부족 같은 습관이 바뀌면 심혈관질환 위험이 실제로 낮아진다는 것을 반복적으로 증명했다"며 "이같은 연구 결과가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고 생활습관 교정의 동력이 된다는 점에서 얼마든지 의사가 아니더라도 환자의 예후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환자를 직접 진료하지 않아도, 데이터가 삶을 바꾸는 무기가 될 수 있다는 게 그의 판단. 데이터를 근거로 정책 변화에도 힘을 실어줄 수 있다. 근거를 설명하는 데 가장 좋은 건 숫자이고, 따라서 팩트시트의 힘은 숫자에서 비롯된다.한 교수는 "막연히 비만이 늘었다는 말보다 '젊은 남성 고도비만율이 몇 퍼센트'라는 수치가 훨씬 강력하다"며 "이는 정책 결정자에게 경각심을 주고, 국민에게는 자기 문제로 다가오게 만든다"고 설명했다.그는 "해외 수치와 나란히 비교해 국내 질환 유병률을 보여주면 얼마나 심각한지 단번에 와닿는다"며 "그런 까닭에 팩트시트는 단순한 학회 자료를 넘어 인식 변화와 정책 로드맵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했다.의학통계학자의 존재감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한국이 OECD 체제 안에서 선진국과 보조를 맞추려면 모든 것이 정량화돼야 하고, 이는 의학에서도 예외가 아니기 때문.사망률, 치료 성과, 비용 대비 효과까지 수치로 표현해야 하며, 그 수치의 기반을 다지는 것은 의학통계학자의 몫이다.한경도 교수는 "최근엔 AI와 빅데이터가 결합하면서 통계와 의료는 한층 긴밀해지고 있다"며 "이제는 주먹구구식으로는 연구하던 시절이 아니기 때문에 숫자와 근거 없이는 그 어떤 것도 설명할 수 없다"고 단언했다.올해 10주년을 맞은 비만 팩트시트를 돌아보며 그는 "부모의 체질량 지수와 자녀의 비만 상관성을 제시해 호응을 얻었다"며 "매년 주요 지표를 반복하면서도 동시에 시의적절한 새로운 항목을 찾아야 하는 게 가장 큰 고민"이라고 털어놨다.그는 "다만 비만학회가 국내 비만 현황을 담은 팩트시트를 발간한지 10년을 맞으면서 처음으로 비만 유병률 정체와 같은 긍정 신호가 포착됐다"며 "팩트시트와 논문처럼 눈에 보이는 결과물이 매년 나온다는 점에서 의학통계학과 학생들도 동기부여가 되고, 본인도 다시 동력을 얻을 수 있다"고 했다.그는 "몸은 하나인데 학회의 협업 요청 사례가 지속적으로 늘어 힘들 때도 있지만 데이터가 환자의 건강과 사회 인식에 보탬이 된다는 확신이 있어 은퇴까지 함께 하고 싶다"며 "임상과 정책, 학문과 사회의 경계에 서서 숫자로 현실을 바꾸는 일을 지속하겠다"고 덧붙였다.

ESMO 2025

#


전 세계 항암전문가 ESMO 향한다… AI 정밀의학·신약 화두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미국암연구학회(AACR)와 함께 세계 3대 암 학회로 꼽히는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 2025)가 독일 베를린에서 17일(현지시각) 막을 올렸다. 전 세계 항암 전문가들과 치료제 시장 선점을 노리는 글로벌 제약사들이 대거 자리하며 닷새간 학술잔치를 예고한 상황.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 2025)가 독일 베를린에서 17일(현지시각) 막을 올렸다. 17일 ESMO에 따르면, 이번 행사에서는 AI 정밀의학을 활용한 암 치료 최신 지견과 함께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 Drug Conjugate, ADC) 등 글로벌 빅파마들의 치료제 임상연구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암 치료제와 관련된 최신 연구는 물론 글로벌 건강 및 혁신에 중점을 둔 다양한 논문 그리고 실제 임상에서 진료의 질을 높이기 위한 최첨단 도구, 표준 등을 선보인다.특히 올해 ESMO 2025에는 다이이찌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 로슈, 암젠, 얀센, BMS, MSD, 릴리, 화이자 등 글로벌 제약사들이 항암 전문가들과 그동안 갈고 닦아온 임상연구를 공개한다.이번 ESMO 2025의 하이라이트는 행사는 ADC 계열 의약품을 활용한 임상연구 결과 공개다.개막 첫  날부터 아스트라제네카는 다이이찌산쿄와 공동 개발한 ADC 의약품 엔허투와 다트로웨이를 활용한 임상연구를 적극 알려나가고 있다.우선 ADC 계열 대표적인 치료제인 엔허투(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카, 다이이찌산쿄‧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2건의 임상3상 연구가 발표될 예정이다. HER2 양성 초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DESTINY-Breast11'과 'DESTINY-Breast05' 연구다.DESTINY-Breast11 연구는 고위험 조기 HER2 양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Neoadjuvant) 단계에서 엔허투와 파클리탁셀, 허셉틴(트라스투주맙), 퍼제타(퍼투주맙) 병용요법을 투여한 결과를 평가한 임상이다. DESTINY-Breast05는 수술 후(Post-Neoadjuvant)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엔허투 단독요법'을 적용해 재발률 감소와 생존 이점을 주요 평가 지표로 분석했다.이번 ESMO 2025에서 노바티스는 자체 부스에 혼합현실(MR) 헤드셋 기기를 활용해 유방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여기에 다이이찌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는 추가로 협력해 개발한 ADC인 '다트로웨이(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를 활용한 임상3상 TROPION-Breast02 연구도 발표할 예정이다. 30년 만에 요로상피암 치료 패러디임을 바꿔놓았다고 평가 받는 ADC 파드셉(엔포투맙 베도틴) 연구도 주목할 만하다. 방광암 수술 전‧후 보조요법으로 시스플라틴 불가 방광암 환자를 대상으로 파드셉과 면역항암제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 병용요법을 평가한 임상 3상(KEYNOTE-905, EV-303) 연구다. 참고로 해당 연구는 MSD 주도로 진행됐다.여기에 이번 학술대회에서 주목 받은 연구가 있다면 바로 노바티스 방사성 리간드 약물(Radio Ligand Therapy, RLT) 플루빅토(루테튬 비피보타이드테트라세탄)를 활용한 것이다.노바티스는 방사성 의약품 플루빅토 연구 발표와 함께 해당 치료제를 적극 알려나가고 있다.앞서 노바티스는 PSMAddition 3상 연구를 통해 플루빅토가 mHSPC(전이성 호르몬 민감성 전립선암) 환자 대상 기존 표준 치료 대비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줄였다고 밝힌 바 있다. 해당 연구가 이번 ESMO 2025 공개할 예정으로 프레지덴셜 심포지엄 발표 대상으로 분류,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이에 따라 글로벌 항암제 시장을 경쟁 중인 빅파마들이 대규모 부스를 차려 치료제 선전에 나섰다.특히 이번 ESMO 2025에서 핵심 발표를 앞두고 있는 기업들이 눈에 띄었다. 다이이찌산쿄와 아스트라제네카는 대표적인 ADC 약물인 엔허투를 비롯해 다트로웨이 등을 임상현장 전문가들에게 알려나가기 위해 적극 나서는 모습이다.파드셉을 보유한 아스텔라스도 마찬가지다. 애브비 역시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ESMO 2025에서 공개하는 동시에 적극적인 홍보에 나선 분위기다. 애브비는 난치성 종양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텔리소투주맙 아디주테칸, ABBV-706(개발코드명), 텔리소투주맙 베도틴의 임상 데이터를 다수의 발표 세션에서 소개할 예정이다.한편, 한편 글로벌 빅파마들의 부스 경쟁 속에서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도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세계 최대 학술잔치에서 자사 이름 알리기에 나섰다. 프레시티지바이오파마와 루닛 등이 부스를 마련했으며, 포스터 형태로 한미약품과 대웅제약, 지아이이노베이션, 리가켐바이오, 퓨쳐켐 등이 자사의 임상연구를 공개할 예정이다.※ 이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사업 지원을 받아 작성됐습니다. 
  • #
  • #
#
#
#

토막기사
  • 전체
  • 정책
  • 병원
  • 제약
  • 의료기기
  • 학술

MEDI ACADEMY
  • Medi Insight
  • MD Column
  • M-Repor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