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정시 합격자가 발표되면서 지방의과대학에 빨간불이 켜지고 있다.
정부가 올해부터 의과대학 정원을 대폭 확대하면서 경쟁률이 떨어지고 중복합격 규모가 늘어나, 상대적으로 인기가 낮은 중위권 및 비수도권 의대에서 미충원 인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입시전문기관 종로학원이 전국 39개 의대 중 2025학년도 정시 모집 최초 합격자 등록 상황을 공개한 7개 의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소재 4개 의대(서울대, 연세대, 가톨릭대, 이화여대)에서 최초 합격자 24명이 등록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28명)보다 14.3% 감소한 것이다.
반면, 지방 의대 3곳(부산대, 연세대 미래캠퍼스, 제주대)에서는 2025학년도 정시 최초 합격자 가운데 17명이 등록을 포기했다. 이는 전년(7명) 대비 142.9% 증가한 수준이다.
의대 관계자들은 합격자 공개를 거부한 다른 지방의대들 역시 비슷한 상황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권 의과대학은 정원 변동이 없던 반면, 지방 소재 의과대학은 의대증원 정책에 따라 정원이 대폭 늘어나며 중복 합격으로 인한 등록 포기자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입시 전문가는 "지역을 중심으로 의과대학 정원을 크게 증원했을 때부터 모두 추가합격 규모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다"며 "정원이 늘어난 지방의대는 대부분 추가합격 규모가 예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원 미달 가능성에 대해서는 "최초 합격자가 중 등록을 포기하는 규모가 커질수록 입결은 떨어지겠지만 의과대학학은 워낙 인기가 높기 때문에 미달 사태가 발생할 확률은 낮다"며 "다만 일부 대학은 3월 새학기 직전까지 추가합격 전화를 돌려 합격생을 선발해야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올해는 의대증원이 적용되는 첫해이니만큼 눈치싸움이 치열해 끝까지 가봐야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계는 이러한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면 지방 의과대학에 또 다른 낙인이 찍혀 여러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교수는 "지방의대 최초 합격자 중 많은 학생이 등록을 포기하면서 서울권과 지방 의과대학의 합격선은 격차가 벌어질 수밖에 없다"며 "이미 수도권 의대에 대한 선호도가 분명한 상황 속 지방의대는 합격 하위권이라는 인식이 고착화되면 학생들이 입학을 꺼리는 현상이 심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올해 역시 지방권 의과대학생이 n수를 통해 수도권 의대로 입학한 경우가 많다고 알고 있다"며 "교수들 역시 근로환경이나 임금 등 문제로 수도권을 선호하는 상황 속 이러한 경향이 5년 동안 이어진다면 지방의대가 무너지고 최종적으로 지역의료 자체에 대한 신뢰가 깨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최악의 경우 일부 지방의대는 '폐교'가 되는 사례까지 나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 충북대와 울산대, 원광대 등이 최근 의학교육평가원에서 '불인증 유예' 판정을 받으며 논란이 된 바 있다. 이들 대학은 1년의 보완 기간을 거쳐 재평가를 받게 되며 또다시 불인증을 받게 될 경우 향후 입학생은 의사 국시 응시 자격이 박탈된다.
그는 "불안정한 상황 속 의학교육평가원의 평가 결과 등에 따라 대학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며 "원광의대 등 세 곳만의 문제가 아닌 취약한 지방의대 모두가 걱정해야 할 문제로 제2의 서남의대가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고 지적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